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들의 정서조절전략 유형에 따른 자살사고 및 비자살적 자해행동의 차이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Differences in Suicidal Ideation and Non-Suicidal Self-Harm Behaviors According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mong College Students : A Focus on Latent Profile Analysis

박소라, 이창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college students into distinct groups based on their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suicidal ideation and non-suicidal self-harm behaviors among these group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21 college student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utilized to categorize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ir psychological variables, and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employ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suicidal ideation and non-suicidal self-harm behaviors across the derived profi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ly, participants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distinct groups—‘Adaptive High Use,’ ‘Overall High Use,’ ‘Maladaptive High Use,’ and ‘Overall Low Use.’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icidal ideation across these groups. Thirdly, the frequency of non-suicidal self-harm behaviors also significantly varied among the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ts significanc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the necessity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서조절전략에 따라 집단 유형을 분류한 다음 집단별 특성에 대해 파 악하였으며, 집단 유형에 따른 자살사고 및 비자살적 자해행동의 빈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했 다. 이를 위해 대학생 22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들의 심리적 변인 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도출된 프로파일에 따른 자살사고 및 비 자살적 자해행동 빈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가자들은 적응 방략 고사용 집단, 전반적 고사용 집단, 부적응 방략 고사용 집단, 전반적 저사용 집단의 총 4개의 집단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둘째, 집단에 따른 자살사고의 유의한 차이는 전반적 고 사용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 저사용 집단, 부적응방략 고사용 집단, 적응방략 고사용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집단 간의 차이에 대한 사후분석에서는 적응방략 고사 용 집단에 비해 전반적 고사용 집단에서 높은 유의수준의 자살사고가 나타났다. 셋째, 비자살 적 자해행동의 빈도에 대한 집단별 차이가 유의하였고, 자해행동의 빈도는 적응방략 고사용 집단에 비해 전반적 저사용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 의 의의, 실제 상담 장면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연구 필요성
이론적 배경
연구 목적 및 문제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분석 방법
결과
각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심리적 변인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잠재계층의 갯수
심리적 변인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잠재계층의 유형과 특성
잠재계층 유형에 따른 자해행동 빈도 차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소라 Park, So ra.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이창현 Lee, Chang hyun. 하나임상심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