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9세기 세계지리지와 일본에 관한 지식 확산에 대한 고찰 - 최한기(崔漢綺)의 『지구전요(地球典要)』 「일본」 조목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issemination of Knowledge on Japan in 19th Century World Geography : A Focus on Choi Han-gi’s Jigujeonyo

박혜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ntextualization of knowledge in the perspective of intellectual history, focusing on the Japan section of Choi Han-gi's Jigujeonyo (地球典要). Through this attempt, the influence of the Japan studies triggered by the 1764 Tongsinsa (the delegation to Japan) on the terrain of late Joseon knowledge was explored. When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knowledge reception regarding Japan, with the Japan section of Jigujeonyo from the 19th century serving as the focal point, several points emerge. Firstly, Choi Han-gi mainly cited contemporary sources such as Haiguotuzhi and Ying huan zhi lue, but for the Japan section, most of the content was derived from Haeyurok by Shin Yu-han of the 1719 Tongsinsa. Secondly, Choi Han-gi adopted Wei Yuan’s method of classifying regions based on the Chinese seas but organized the details of each country’s entry from the perspective of Qi-Study by Choi Han-gi himself. Thirdly, Choi Han-gi recontextualized Haeyurok by simplifying and clarifying the content to reconstruct it more systematically, deleting unreliable information and subjective evaluations to provide an objective description, and supplementing information related to latitude based on geography and maps in the case of climate. Fourthly, while Choi Han-gi had exchanges with Lee Gyu-gyeong and showed interest in Lee Deok-Moo’s scholarship, he did not cite the Japan studies of Won Jung-geo and Lee Deok-Moo in Jigujeonyo. The systematization of knowledge is practiced through collection, comparison, editing, criticism, and summarization, and only after this process is completed does it become “knowledge” to be utilized. The purpose of refining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llectual history is to harmonize or adapt it to existing academic categories for circul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Despite considering the incomplete nature of Won Jung-geo’s Hwagukji, Lee Deok-Moo’s Cheongryeonggukji actively utilized Hwagukji as a citation source and selected, summarized, edited, and completed the research by comparing various works and organizing their contents into sections. However, the reason why 18th-century research works did not make it to the citation list when 19th-century Joseon’s intellectuals wrote world geography books might be related not only to the interest in new knowledge but also to the conservatism of Noble Families in seoul, which was not open to public discourse due to the hierarchy and taboo of Neo-Confucianism. The discovery of Japan as an object of objective perception by two intellectuals from the Seo-eol class was a functional intellectual activity aimed at renewing self-awareness through interest in the other. However, their knowledge remained confined within the pages of their books without being disseminated and could not transcend the conceptual dimension due to the loss of practicality.

한국어

본고는 최한기(崔漢綺, 1803~1879)의 『지구전요(地球典要)』 일본 조목을 중심으로 지식의 재맥락화 양상의 특징을 지식사의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시도를 통해 1764년 통신사행으로 촉발된 일본 연구가 조선 후기 지식의 지형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9세기 세계지리지인 『지구전요』 일본 조목을 중심으로 일본에 관한 지식 수용의 특징적 면모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한기는 당대 최신 정보를 담고 있었던 『해국도지(海國圖志)』와 『영환지략(瀛環志略)』을 주로 인용하였다. 그러나 일본 조목에 한하여 대부분의 내용을 1719년 통신사행 신유한(申維翰)의 『해유록(海游錄)』에서 가져왔다. 둘째, 최한기는 위원(魏源)이 중국해를 기준으로 지역을 분류하는 방식 을 수용하여 각 나라들을 범주화하지만 나라별 조목의 세부항목은 기학(氣學)의 관점, 즉 기의 활동운화(活動運化)를 기준으로 구성 하였다. 셋째, 최한기는 『해유록』을 다음과 같이 재맥락화하였다. 항목에 맞게 간략화, 명료화하여 보다 일목요연하게 재구성하고, 또한 신빙성이 부족한 정보와 주관적 평가를 삭제하여 객관적으로 서술하고자 하였으며, 기후의 경우 한역 지리지와 지도를 참조하 여 위도와 관련된 내용을 추가하여 재서술하였다. 넷째, 최한기는 이규경(李圭景)과 교유하였고 이덕무의 학술에도 관심이 있었으나 18세기 원중거(元重擧)와 이덕무(李德懋)의 일본 연구를 『지구전요 에서 인용하지 않는다. 지식의 체계화는 수집과 대조, 편집, 비평, 요약을 통해 실천되 고 이 과정을 거친 후에야 ‘지식’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지식사의 관점에서 지식을 정교화하는 목적은 기존의 학술적 범주들에 동화 혹은 적응을 시켜 당대 사회에 유통하기 위함이다. 원중거의 『화국지(和國志)』의 경우 미완성의 저술로 유통하기에 난관이 많았던 점을 고려하더라도 이덕무의 『청령국지(蜻蛉國志)』경우는 『화국지』를 인용서로 적극 활용했을 뿐만이 아니라 여러 서적들을 대 조하여 내용을 선별하고 또 그 내용들을 항목화한 후 요약, 편집 하여 완성한 연구서였다. 그러나 19세기 조선 지식인이 세계지리 지를 저술할 적에 18세기 연구서가 인용서목에 올라가지 못했던 까닭은 사실 새로운 지식에 대해 관심은 있었으나 성리학의 위계 와 금기에 따라 공론화하지 않은 경화사족의 ‘보수성’과도 무관하 지 않을 것이다. 서얼 출신의 두 지식인이 객관적 인식의 대상으로 일본을 발견한 것은 타자에 대한 관심을 통해 자기의식의 갱신을 도모하는 순기능적인 지적 활동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지식은 공론화되지 않고 그들만의 것으로 책 속에 머무를 뿐 관념적 차원 을 벗어날 수 없었다. 그리고 이처럼 실천을 상실한 지식은 확산 될 수 없었다.

일본어

本稿は、崔漢綺(1803-1879)の 『地球典要』日本条項を中心に知識の 再文脈化様相の特徴を知識史の観点から検討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このよ うな試みを通じて、1764年の通信使行によって触発された日本研究が朝鮮 後期の知識の地形図に及ぼした影響を考察しようとした。19世紀の世界地 理誌である 『地球典要』日本条項を中心に日本に関する知識の受容の特 徴的側面をまとめると以下の通りである。第一に、崔漢綺は当時の最新情 報を含んでいた 『海国図志』と 『瀛環志略』を主に引用した。しかし、日本 条項に限り、ほとんどの内容を1719年の通信使行で申維翰が著した『海游 録』から取っている。第二に、崔漢綺は魏源が中国海を基準に地域を分類 する方式を受け入れ地域を分類する方式を採用し各国を分類したが、国別 の条項の細部は気学の観点、すなわち気の活動運化を基準として構成し た。第三に、崔漢綺は 『海游録』を次のように再文脈化した。項目に合わせ て簡略化、明瞭化して再構成し、信憑性に欠ける情報や主観的評価を削 除して客観的に記述し、気候に関しては漢訳地理誌と地図を参照し、緯度 に関連する内容を追加して再記述した。第四に、崔漢綺は李圭景と交流 し、李徳懋の学術にも関心があったが、18世紀の元重擧や李徳懋の日本 研究を 『地球典要』で引用しなかった。 知識の体系化は収集と対照、編集、批評、要約を通じて実践され、この過程を経て初めて知識として活用される。そして知識史の観点から知識 を精巧化する目的は、既存の学術的範疇に同化または適応させて当時の社 会に流通させるためである。元重擧の 『和国志』の場合、未完成の著作で あるため流通に困難が多かった点を考慮しても、李徳懋の 『蜻蛉国志』の場 合、 『和国志』を引用書として積極的に活用しただけでなく、様々な書籍を 対照して内容を選別し、その内容を項目化し、要約、編集して完成させた 研究書であった。しかし、19世紀の朝鮮知識人が世界地理誌を著す際、 18世紀の研究書が引用書目に上らなかった理由は、事実新しい知識に対し て関心はあったが、性理学の位階と禁忌に従い公論化しなかった京華士族 の保守性とも無関係ではないであろう。庶孼出身の二人の知識人が客観 的認識の対象として日本を発見したのは、他者に対する関心を通じて自己意 識の更新を図る順機能的な知的活動であった。しかし、彼らの知識は公論 化されず、彼らだけのものとして書物の中に留まるばかりで観念的次元を脱す 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そしてこのように実践を欠いた知識は拡散することができ なかった。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지구전요』『일본』 조목의 구성
3. 18세기 일본연구와 지식 확산에 대한 문제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日文抄錄
Abstract

저자정보

  • 박혜민 Park, Hea-min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