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후기 통신사행으로 인한 연례송사 정지와 제 문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Yeonryesongsa(Japanese envoys in one year) and Various Issues that were Discontinued Due to the Tongsinsa(通信使) in the late Joseon Dynasty

심민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process of restor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after the Imjin War, the Treaty of Giyu was signed in 1609. At this time, Japanese envoys who traveled regularly once a year for the purpose of diplomacy and commerce were called Yeonryesongsa(Japanese envoys in one year). In this study, the basic rules and regulations of Yeonryesongsa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process to solve the disputes and disputes after the establishment.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after the Imjin War, the suspension of the Yeonryesongsa caused by the Tongsinsa(通信使) was not normalized. It was after Waegwan moved to Choryang that it became customary to suspend the Yeonryesongsa. After the Waegwan moved to Choryang, it became customary to suspend the Yeonryesongsa for the first time in 1682 when the ‘Imsul-Tongsinsa’ was first dispatched. Interpreters who were concerned about the financial burden and workload due to the Tongsinsa requested that Yeonryesongsa be suspended during the Tongsinsa’s period, and this was accepted. Meanwhile, in 1636, for the first time, the Yeonryesongsa was discontinued during the Tongsinsa’s period. When the Tongsin envoys was dispatched in 1711, there was no agreement as to whether Joseon would receive a letter discontinuing the Yeonryesongsa or send a thank-you reply to Tsushima, causing serious controversy. In this process, it became the norm to include the expression of gratitude for the temporary suspension of the Yeonryesongsa in the written message of the Segyeon-1st-Ship(The first ship sent every year) dispatched the following year.

한국어

임진전쟁 이후 일본과의 국교 회복 과정에서 약정된 1609년 기 유약조에 의해 외교․통상을 목적으로 하여 매년 1회씩 정기적으 로 도항하던 일본 사절을 연례송사(年例送使)라 한다. 조선후기 통 신사행으로 인한 연례송사 정지는 임진전쟁 후 교린관계가 회복되 어 가는 과정에서는 정례화되지 않았던 규례였는데, 초량왜관 시 기에 이르러서야 공식화되었다. 초량으로 왜관이 이전한 후 처음 파견되었던 1682년 임술통신 사행은 연례송사 정지 정례화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통신사행 준비, 차왜의 파견과 접대에 연례송사 접대 및 관련 업무까지 겹 칠 경우 경제적 부담과 업무의 과중 등으로 인한 폐단이 초래될까 두려웠던 조선 정부는 대마도 측에 통신사행 기간에는 연례송사를 정지할 것을 요청하였고 이는 수락되었다. 그래서 이후 통신사행 파 견 기간에는 대마도로부터 연례송사가 건너오는 것이 정지되었다. 한편 정례화가 되기 전에 통신사행 기간 동안 연례송사가 최초 로 정지된 시기가 있었는데, 바로 1636년 통신사행 때였다. 이 시 기는 대마도 측에서 발생한 야나가와씨[柳川氏]와 대마도주 사이 의 소송이 진행되었던 시기로, 통신사행, 연례송사 정지, 연례송사 겸대제 교섭 등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각 외교사행과 교섭 등이 유기적으로 진행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연례송사 범주, 파견, 접대 의 겸대 등의 규정이 완비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통신사행으로 인한 연례송사 정지를 결정하는 것은 서계를 접수 하면서부터인데, 서계의 수․발신자와 회답서계 문제는 1682년 통신사행 때부터 논란이 일었다. 이 논란은 1711년 통신사행 때 이 충돌이 가장 격화되었는데, 봉행왜가 격에 맞지 않게 동래부사 앞으로 서계를 작성하여 보내는 것에 대해 허용할 수 없었던 조선 측과 회답서계를 주지 않으면 연례송사 정지를 철회하겠다는 대마 도 측의 강한 대응이 충돌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례송사 정지에 대한 회답의 뜻은 이듬해에 파견되는 세견제1선 편의 서계에 포함 시키는 것으로 규례화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1636년 통신사행과 연례송사 겸대제 교섭
3. 1682년 통신사행과 연례송사 정지의 정례화
4. 1711년 통신사행과 연례송사 정지 서계접수 분쟁
5. 맺음말
참고문헌
日文抄錄
Abstract

저자정보

  • 심민정 Shim, Min-jung. 부경대학교 해양인문학연구소 인문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