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의 현재적 의미 - 트라우마와 제노사이드적 관점에서 -

원문정보

Current significance of the 1923 Great Kanto Earthquake and Massacre of Koreans : From a trauma and genocide perspective

김인덕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70호 2024.06 pp.267-30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meaning of the 1923 Great Kanto Earthquake Massacre of Koreans in the disaster history for Koreans living in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trauma and genocide. The disaster history of Koreans in Japan can be characterized by trauma and genocide. As a disaster history, the process of settlement and ‘forced deportation’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historical facts that show the essence of the lives of Koreans living in Japan. Even after the war, Zainichi Koreans in disaster history had to experience genocide in the midst of everyday trauma and the political reality of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in the midst of national education and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massacre of Koreans in 1923 was the peak of genocide. The timing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massacre of Koreans in 1923 was examined in rumors. History remembers how scary rumors can be. In 1923, a massacre of Koreans was committed in the Kanto region where the earthquake occurred. In Tokyo, the massacre had already begun on the night of the 1st. Until now, it has been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circumstances of the 1923 Great Kanto Earthquake and massacre of Koreans due to the Japanese authorities’ distortion and concealment of facts. The massacre of Koreans was not immediately known outside the Kanto region due to reporting restrictions. Koreans in Japan are people who went to Japan even though they did not want to go. And I still live in Japan. Nowadays, no one refers to these Koreans in Japan as abandoned compatriots. However, when they come to Korea, they need to think about whether they will face another hardship if they go to North Korea. The problem is that the genocide and trauma experiences of Koreans in Japan are being forgotten in the history of Koreans living in Japan. Koreans living in Japan are still living in Japan beyond their divided homeland. Even today, Koreans living in Japan are living with national concerns stemming from historical experiences. Genocide, the Great Kanto Earthquake of 1923, and the massacre of Koreans are currently the problem of the Korean people and me.

한국어

본고는 재일조선인 재난의 역사 속의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의 현재적 의미를 트라우마와 제노사이드적 관점에서 고찰했다. 재일조선인의 재난사는 트라우마와 제노사이드로 특징지을 수 있다. 재난사로서 일제강점기 이후 정주의 과정과 ‘강제연행’은 재일조선인 삶의 본질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실이다. 전후에서도 재난사 속의 재일조선인은 일상의 트라우마와 분단된 한반도의 정치적 현실 속에서, 구체적으로 민족교육과 한국전쟁 가운데 제노사이드를 경험해야 했다. 특히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은 제노사이드의 정점이었다.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의 시점은 유언비어에서 고찰했다. 유언비어가 얼마나 무서운 일인지 역사는 기억한다. 1923년 지진이 있었던 관동지역에서는 조선인학살이 자행되었다. 도쿄에서는 이미 1일 밤부터 학살이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일본 당국의 사실 왜곡과 은폐로 인해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의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조선인학살에 대해서는 보도 통제로 관동지역을 제외한 곳에는 즉각 알려지지 않았다. 재일조선인은 가기 싫어도 일본에 갔던 사람이다. 그리고 지금도 일본에 살고 있다. 지금은 이들 재일조선인을 누구도 버려진 동포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런데 그들이 한국에 오면, 그들이 북한에 가서는 또 다른 이지메를 당하지 않는지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문제는 재일조선인 역사 속에서 이들의 제노사이드와 트라우마 경험이 잊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재일조선인은 분단된 조국을 넘어 지금도 일본에 살고 있다. 오늘도 재일조선인은 역사적 경험에 따른 민족적 고민을 온몸으로 부등켜 안고 살아가고 있다. 제노사이드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은 현재 한민족, 나의 문제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일제강점기, 해방공간 속의 재일조선인의 재난사
1) 조선촌의 트라우마와 ‘강제연행’ 제노사이드
2) 해방과 함께 온 정주 트라우마
3) 해방공간 재일조선인 제노사이드
3. 재일조선인 재난사 속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
1) 재난사로서의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과 유언비어
2) 역사적 사실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의 실상
3)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에 대한 조선인의 대응과 기억
4)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에 대한 일본 사회 기억의 한계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덕 Induck Kim. 청암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