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knee angle and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auxiliary form in order to find an effective posture for core movement in Matpilates.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10 women in their 20s in C city, Chungcheongnam-do, an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exercise conditions and performed a total of 8 movements at intervals of 3 days. The knee angle and the double leg stretch and roll-up motion were statically performed for 10 seconds, and the EMG of the upper part of the rectus abdominis, lower part of the rectus abdominis, and the rectus femoris were measured during exercise. First, the iEMG of the upper part of the rectus abdominis according to the knee angle and assistive type during the double leg stretch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knee angle (p=.014). Second, the iEMG of the lower part of the rectus abdominis according to the knee angle and assistive type during the double leg stretch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knee angle (p=.038), and the knee posture was higher in the case of assisting.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EMG of the rectus femoris according to knee angle and assistive type during the double leg stretch exercise.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EMG of the upper part of the rectus abdominis according to knee angle and assistive type during roll-up exercise. Fifth, the iEMG of the rectus femoris according to the knee angle and the assistive type during the roll-up exercise had an interactive effect (p=.029), and it was the highest when the knee was not supported in the extended posture and the lowest when the knee was not supported in the bent posture. A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ity of the rectus abdomini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knee angle in the double leg stretch exercise, which is the lower abdominal exercise during the mat pilates core exercise, and the activity of the rectus femori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knee bending when the roll-up exercise is not assisted.
한국어
이 연구는 매트필라테스에서 코어운동에 효율적인 자세를 찾고자 무릎각도와 보조형태에 따른 근활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충남 C시의 20대 여성 9명을 대상으로 운동 조건별로 무작위 배정하여 3일 간격으로 8가지 동작을 수행하였 다. 무릎각도와 보조형태별 더블 레그스트레치, 롤 업 동작을 정적으로 10초간 시행하였으며 운동 중 배곧은근 상부, 배곧 은근 하부, 넙다리곧은근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더블 레그 스트레치 동작 시 무릎각 도와 보조형태에 따른 배곧은근 상부의 iEMG는 무릎각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14), 보조여부와 상관없 이 모두 무릎을 편 자세가 높았다. 둘째, 더블 레그 스트레치 동작 시 무릎각도와 보조형태에 따른 배곧은근 하부의 iEMG 는 무릎각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38), 보조를 실시한 경우에서 무릎을 편 자세가 높았다. 셋째, 더블 레그 스트레치 동작 시 무릎각도와 보조형태에 따른 넙다리곧은근의 iEMG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롤업 동작 시 무릎각도와 보조형태에 따른 배곧은근 상부의 iEMG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롤업 동작 시 무릎각도와 보조형태에 따른 넙다리곧은근의 iEMG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으며(p=.029), 무릎을 편 자세에서 보조를 하지 않았을 때 가장 높았고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보조를 하지 않았을 때 가장 낮았다. 종합하면 매트필라테스 코어운동 시 하복부 운동인 더블 레그 스트레치 동작은 무릎각도에 따라 배곧은근의 활성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롤 업 동작은 보조를 하지 않았을 때 무릎 굽힘 여부에 따라 넙다리곧은근의 활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더블 레그 스트레치(Double leg stretch)
3. 롤업(Roll up)
4. 신체조성 평가
5. 근기능 평가
6. 자료처리
Ⅲ. 결과
1. 더블 레그 스트레치(Duble leg stretch)동작 시 근활성도의 변화
2. 롤업(Roll up) 동작 시 근활성도의 변화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