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먹(다)’ is one of the basic vocabulary words with a relatively high frequency of use in actual language life. Research on this verb has mainly focused on the diversity of meaning and its function as an auxiliary verb.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structural types of idiomatic expressions using ‘먹(다)’ and examine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argeting 89 idiomatic expressions using ‘먹 (다)’ extracted from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In this paper, the classification was based on dictionary interpretation and the syntactic classification methods of existing research. According to morphologicalsyntactic characteristics, it is primarily classified into ‘N(을)+V’ type, ‘N(이)+V’ type, and ‘N(에, 로)+V’ type, ‘V+ㄴ/은+N’ type, and ‘V+연결어미+(V)’ type.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을)+V’ type had the largest proportion. Also, the active form ‘먹(다)’ is mainly used as a transitive verb, and in the ‘N(을)+V’ type, quite a few examples of V is used as ‘먹이(다)’. In general, ‘먹(다)’ is mostly used as a transitive verb, and when it is used as an intransitive verb, it is mainly found in the ‘N(이)+V’ type. And, examples of the causative form ‘먹이(다)’ occupy a certain proportion. On the other hand, examples of the passive form ‘먹히(다)’ are very rarely found. The structural type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using ‘먹(다)’ examined in this paper cannot represent the entire type of phrases using ‘먹(다)’. However, as the idiomatic expressions in which ‘먹(다)’ is used, is a part of the phrase using ‘먹(다)’, and it can be seen as having its meaning as a basic analysis for researching the phrase ‘먹(다)’.
한국어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비교적 높은 기본어휘의 하나인 ‘먹(다)’에 대한 연구는 주 로 의미의 다양성과 보조동사로서의 기능 측면에서 많이 다루어졌다. 본고에서는 표준국어대 사전에서 추출한 ‘먹(다)’가 사용된 89개의 관용표현을 대상으로 ‘먹(다)’사용 관용표현의 구조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통사 의미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사전적 풀이와 기존 연구의 구문 분류 방식을 토대로 1차적으로 형태-통사적 특성에 따라 ‘조사 결합형+V’유형, ‘관형사형 어미 결합형+N’유형, ‘연결어미 결합형+(V)’유 형으로 분류하고 조사의 성격에 따라 ‘조사 결합형+V’유형을 다시 ‘대격조사 결합형+V’유형, ‘주격조사 결합형+V’유형, ‘부사격 조사 결합형+V’유형으로 세분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먹 (다)’가 사용된 관용표현에서 ‘대격조사 결합형+V’유형의 비중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먹(다)’가 사용된 관용표현에서 능동의 형태인 ‘먹(다)’가 주로 타동사로 사용되며 ‘대 격조사 결합형+V’유형에서 V가 ‘먹이(다)’로 쓰인 용례가 적지 않게 발견되었다. 전반적으로 ‘먹(다)’가 사용된 관용표현에서 ‘먹(다)’가 타동사로 사용된 것이 대부분이고 자동사로 사용된 경우는 주로 ‘주격조사 결합형+V’유형에서 발견된다. 그리고 ‘먹(다)’가 사용된 관용표현에서 사동의 형태 ‘먹이(다)’로 쓰인 용례가 일정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피동의 형태 ‘먹히(다)’로 쓰인 용례는 아주 드물게 발견된다. 본고에서 진행한 ‘먹(다)’가 사용된 관용표현의 구조 유형은 ‘먹(다)’사용 구문의 전체 유형 을 대표할 수 없지만 ‘먹(다)’가 사용된 관용표현이 ‘먹(다)’사용 구문의 부분인 만큼 ‘먹(다)’구 문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분석으로 그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겠다.
목차
1. 서론
2. ‘먹(다)’의 기본의미와 ‘먹(다)’ 구문의 구조 유형
3. ‘먹(다)’ 사용 관용표현의 구조 유형
1) ‘조사 결합형+V’ 유형
2) ‘관형사형 어미 결합형+N’ 유형
3) ‘연결어미 결합형+(V)’ 유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