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리나라의 제석시(除夕詩) 창작 양상 고찰 (2) - 唐宋代 除夕詩에 차운한 除夕詩 양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reative Aspects of Korea's Jeseok[New Year's Eve] Poetry (2) - Focusing on aspects of poetry that replied to the rhyming of the Tang Song Dynasty -

우리나라의 제석시(제석시) 창작 양상 고찰 (2) - 당송대 제석시에 차운한 除夕詩 양상을 중심으로 -

이황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creative aspects of Jeseok poetry, focusing on Jeseok poetry that rhymes with that of writers from the Tang Song Dynasty in Korea. One characteristic shows distinctly different elements from the poems written on other holy days, and many poems are based on the Tang Song Dynasty writers. This is seen as the characteristic of Korea's jeseok poetry. Korean writers wrote 176 poems to Chinese writers; 117 poems were written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Gaodi's “除夜作” is the most popular poem written by Korean writers, and 64 poems written by 55 writers are confirmed. This proves that the poem was recognized explicitly as representative of the ritual table. In addition, the famous phrases of the Tang Dynasty's Jeseok poetry were used as rhymes and created as poems, capturing several characters only found in the cold poetry of the Tang Dynasty. The age is often specified in Jeseok poetry; Dufu's “杜位宅守歲” was more sympathetic to writers around age 40, while Baijuyi's “除夜寄微之” to writers around age 52. Thirty-nine poems were identified that rhymed with those of writers of the Song Dynasty, especially those by Su Shi, Lu You, and Chen Ru Yi. Excluding Su Shi, the poems of writers of the Song Dynasty writers appeared intensively after the 18th century. This characteristic facilitates detecting the change in the trend of poetr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creative aspects of Jeseok poetry in Korea. In particular, it was possible to see that Kim Chang-hyeop, who led the change in the trend of poetry in Joseon in the 18th century, considerably influenced Jeseok poetry.

한국어

본고는 우리나라의 제석시 창작 양상 중 당송대 문인의 제석시에 차운한 제석시를 중심으로 그 창작 양상을 고찰한 글이다. 제석시가 다른 세시 명절에 지은 시들과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여주는 특징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당송대 문인의 시에 차운한 시가 눈에 띌 만큼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우리나라의 제석시 창작 양상의 특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한국문집총간』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문인이 중국 문인의 시에 차운한 시는 총 176제인데 그중에서 唐代 문인의 제석시에 차운한 제석시는 117제로 고려말부터 조선시대 全般에 걸쳐 두루 창작되었다. 우리나라 문인이 가장 많이 차운한 당대 제석시는 高適의 <除夜作>으로 55인의 문인이 지은 64제(144수)의 시가 확인된다. 이는 <除夜作> 시가 명시로 인정받으며 제석을 대표하는 시로 인식되었음을 방증한다. 그리고 高適의 <除夜作>, 戴叔倫의 <除夜宿石頭驛>, 孟浩然의 <歲暮歸南山>, 崔塗의 <巴山道中除夜書懷> 등과 같은 당대의 유명 제석시의 명구를 운으로 삼아 그 글자 수만큼의 연작시로 창작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唐代 제석시에 차운한 제석시에서만 포착되는 있는 양상이다. 또한 제석시에는 나이가 명시되는 경우가 많은데, 杜甫의 <杜位宅守歲>는 40 전후의 문인들에게, 白居易의 <除夜寄微之>는 52세 전후의 문인들에게 더 큰 공감을 주었다. 송대 문인의 시에 차운한 제석시는 39제가 확인되는데, 특히 蘇軾, 陸游, 陳與義의 시가 주로 차운되었다. 이중 소식을 제외한 송대 문인의 시에 차운한 제석시는 18세기 이후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우리나라 제석시 창작 양상을 통해서도 조선후기 시경향 변화의 일정 부분을 탐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18세기 조선의 시경향 변화를 선도했던 인물인 김창협의 영향이 제석시 창작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음을 엿볼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唐代 제석시에 차운한 제석시 양상
3. 宋代 제석시에 차운한 제석시 양상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황진 Lee, Hwang-jin. 단국대학교 연구전담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