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메시지 소구유형, 고정관념, 이타주의가 코다에 대한 기회 불평등 인식과 태도 및 정책지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코다에 관한 공공커뮤니케이션 방향성 고찰

원문정보

Effects of Message Appeal Types, Stereotypes, and Altruism on Perceived Opportunity Inequality, Attitudes, and Policy Support toward Children of Deaf Adult (CODA): An Exploration of Public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CODA

손위수, 상승영, 양약위, 오소한, 심성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how variables such as message appeal types, stereotypes, altruism, and perceived opportunity inequality can inform the public about Children of Deaf Adult (CODA) and enhance social awareness. Based on an experimental desig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95 adults in South Korea. The stud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opportunity inequality, attitudes toward CODA, and policy support for CODA based on message appeal types (rational/emotional). However, perceived opportunity inequality regarding CODA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 CODA, and both perceived opportunity inequality and favorable attitudes toward CODA positively influenced policy support. Stereotypes about the Deaf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attitudes toward CODA and policy support, though no interaction effect was observed between message appeal types and stereotypes. High altruism groups exhibited more positive attitudes and greater policy support toward CODA compared to low altruism groups, an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ssage appeal types and altruism was found. These findings suggest effective directions for public communication strategies aimed at building social awareness for CODA.

한국어

이 연구는 메시지 소구유형, 고정관념, 이타주의, 기회 불평등 인식 등 변인을 활용하여 청각 장애인의 청인 자녀인 코다(Children Of Deaf Adult, CODA)를 대중들에게 알리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공공커뮤니케이션의 방향성을 밝혔다. 실험설계를 통해 전국 성인남녀 29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메시지 소구유형(이성적/감성적)에 따라 코다에 대한 기회 불평등 인식, 코다에 대한 태도 및 정책지지의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코 다에 대한 기회 불평등 인식은 코다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 코다에 대한 기회 불평등 인 식과 코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정책지지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청 각장애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코다에 대한 태도와 정책지지의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 으로 나타났지만, 메시지 소구유형과 고정관념의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타주의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코다에 대한 태도와 정책지지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메시지 소구유형과 이타주의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코다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 성을 위한 소통의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코다에 관한 현황과 공공커뮤니케이션 사례
2) 코다에 대한 기회 불평등 인식과 태도 및정책지지의도
3) 메시지 소구유형에 따른 메시지 효과 차이
4) 고정관념 및 코다에 대한 인식
5) 메시지 소구유형과 고정관념의 상호작용
6) 이타주의의 조절효과
3. 연구방법
1) 실험설계 및 절차
2) 실험 자극물
3) 자료수집 및 연구대상
4) 변인의 측정
5) 조작 점검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정
2)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
3) 연구문제 1에 대한 검증
4) 연구문제 2, 3에 대한 검증
5.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손위수 Yushu Sun.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박사수료
  • 상승영 Chengrong Chang.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석사
  • 양약위 Ruowei Yang.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석사
  • 오소한 Xiaohan Wu.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석사
  • 심성욱 Sung Wook Shim.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