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고창 선운사 영산전 「습득도」벽화의 제작 기법 특성 연구

원문정보

Manufacturing Tech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hide (monk)」 Mural Painting in Yeongsanjeon Hall, Seonunsa Temple, Gochang

유영경, 이예현, 이화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hide (monk)」 mural painting in Yeongsanjeon Hall, Seonunsa Temple, Gochang, we conducted microscopic, SEM-EDS, XRD, particle size analysis, FT-IR, and starch-iodine reac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hide (monk)」 mural painting reflects the manufacturing style of Joseon Dynasty temple murals that have been studied to date,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the wall and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igments used. However, the fact that the middle layer has not been confirmed and that there are multiple ground layers below the painting layer is confirmed by the unique manufacturing technique that can only be found in the 「Shide (monk)」 mural painting in Yeongsanjeon Hall, Seonunsa Temple. In particular, the techniqu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finishing layer is coated with a carbohydrate-based adhesive component and a coarse-grained layer is plastered on top of it is considered to be a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the composition trend of the Buddhist mural painting previously studied.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hide (monk)」 mural painting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direction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murals in Yeongsanjeon and preparing long-term conservation plans. It is also hoped that it will provide important materials for research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onservation management of murals inspect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고창 선운사 영산전 「습득도」벽화에 대한 제작 기법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미경조사, SEM-EDS, XRD, 입도분석, FT-IR, 아이오딘 정색반응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 였다. 연구 결과, 「습득도」벽화는 벽체의 구성이나 사용된 채색 안료 등의 재질 특성에 있어 현재까지 연구된 조선시대 사찰벽화의 제작 양식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중벽층이 확인되지 않고, 채색층 아래로 다수의 바탕칠층이 존재하는 점은 선운사 영산전 「습득도」벽화에서만 확 인할 수 있는 특징적인 제작 기법으로 확인된다. 특히 마감층 표면에 탄수화물계 접착 성분이 피복되고 그 위로 조립질로 구성된 층위가 미장된 기법은 선행 연구된 사찰벽화 바탕칠 조성 경향과는 상이한 특징으로 판단된다. 금번 선운사 영산전 「습득도」 벽화가 갖는 제작 기법적 특징에 대한 연구 결과는 향후 영산전 벽화의 보존처리 방향 수립 및 장기적인 보존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조선 후기 사찰벽화의 제작 기법 특징과 보존관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3.1. 벽화 구조
3.2. 벽화 재질 특성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유영경 Yeong Gyeong Yu.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학과 회화보존전공
  • 이예현 Ye Hyeon Lee.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학과 회화보존전공
  • 이화수 Hwa Soo Lee. 건국대학교 조형예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