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남원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소조시왕상의 채색안료 분석과 색상 다양성 해석

원문정보

Interpretation of Hue Diversity and Coloring Pigment Analysis onto the Wooden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and Clay Ten Underworld Kings in Namwon Seonwonsa Temple, Korea

정동희, 한두루, 최일규, 이찬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and Clay Statues of Ten Underworld Kings within the Myeongbujeon Hall of Namwon Seonwonsa Temple are known to have clear creators, and documented to be in 1610. The Statues serve as significant academic resources for examining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tatues that were actively produced in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 various damages such as exfoliation of pigment layer, cracks and breakages occurred in the studied Statues, and the pigments showed complex chemical composition. In particular, large amounts of Ca and P were detected in the white basement layer, which suggesting the existence of a whitewashed at the time of creation. The blue pigments on the Clay Statues of Ten Underworld Kings general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inamchae, a mixture of colored metal oxides and glassy powder. The studied Statues have been recorded in multiple repairing, and various coloration components were detected even in pigments of similar colors, indicating that were toned. Based on the coloring techniques such as over and filler paintings, it is interpreted that there was a supply and demand of materials reflected the period and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conservations on the Statues in Seonwonsa Temple.

한국어

남원 선원사 명부전의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소조시왕상은 제작자가 명확한 존상들로, 1610년에 처음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는 조선 후기 왕성하게 조성되었던 명부전 존상 들의 형태적 변천과정을 지시하는 중요한 학술적 자료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존상에서 안료층 박락과 균열 및 파손 등 다양한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안료들은 복합적인 화학조성을 보였다. 특히 백색의 바탕층에서는 전반적으로 Ca과 P이 다량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제작 당시 회칠이 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소조시왕상의 청색 안료는 발색성 금속산화물과 유리질 분말을 배합한 신암채의 특성이 나타난다. 이 연구대상 존상들은 중창한 기록이 있고, 유사한 색의 안료에서는 다양한 발색원소가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조색이 있었으며, 덧칠과 보채 등 채색기 법으로 볼 때 당시의 시대적 및 사회적 상황을 반영한 재료의 수급과 활용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 결과는 향후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소조시왕상의 보존을 위한 자료로 활 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언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현황 및 보존상태
2.3. 연구방법
3. 결과 및 해석
3.1. 분석위치
3.2. 색도분석
3.3. 조성분석
3.4. 미세조직 및 성분분석
4. 고찰
4.1. 채색안료 해석
4.2. 채색기법 검토
5. 결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정동희 Dong Hee Jeong.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한두루 Doo Roo Han. (주)세계유산연구원
  • 최일규 Il Kyu Choi.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Chan Hee Lee.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