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심리적 계약 위반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상사신뢰의 조절효과 -

원문정보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Turnover Intentions - Mediation Effect of Job Stress and Moderation Effect of Trust in the Boss -

정윤정, 이희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modern companies, psychological anxiety about the organization is increasing due to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in an uncertain business environment. Companies are also constantly seeking ways to understand and cooperate with members in order to ensure that they stay in the organization for efficient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personal job stress increases when members recognize a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hich increases their intention to turnover. In addition, it was studied whether members who recognized a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could offset their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trust of their supervis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members'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turnover intention had a positive (+) effect. In other words, when the organization has not received what they think it should do, members'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increases.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turnover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members who recognized th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creased job stress, which increased their turnover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turnover intention, trust in the boss reduced negative feelings toward the organization and alleviated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since the perception of a member's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creases the intention to turnover, the organization should continuously observe which areas members expect and want to be compensated for, and prepare management plans accordingly. In addition, in order to fo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ss and the subordinate in terms of the trust relationship with the boss alleviating the turnover intention, a practical plan was proposed to lower the turnover rate of members by utilizing various horizontal culture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the organization.

한국어

현대 기업들은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 조직 구조 개편 등으로 인해 구성원이 조직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기업 또한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조직에 머물도록 하기 위해 구성원의 관점을 파악하고 협력하는 방안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성원이 심리적 계약위반을 인식했을 때 개인적 직무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이직 의도를 높이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심리적 계약 위반을 인식한 구성원이 상사의 신뢰를 통해 조직을 떠나려는 의도를 상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계약 위반 인식과 이직 의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조직이 해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받지 못 했을 때 구성원은 조직을 떠나려는 의도가 높아진다. 둘째, 심리적 계약 위반과 이직 의도 사이에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심리적 계약 위반을 인식한 구성원은 직무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이는 이직 의도를 높이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셋째, 심리적 계약 위반과 이직 의도 관계에서 상사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사에 대한 신뢰는 조직에 대해 부정적 감정을 줄이고 이직 의도를 완화 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구성원의 심리적 계약 위반 인지는 이직의도를 높이기에 조직은 구성원이 어떤 부분에 대해 기대하고 보상받기를 원하는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그에 맞는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상사와의 신뢰 관계가 이직 의도를 완화시키는 측면에서 상사와 부하의 관계 형성을 위해 조직의 수평적 문화 및 의사소통 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구성원의 이직률을 낮출 수 있는 실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심리적 계약위반
2.2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 의도
2.3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2.4 상사신뢰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3.1 표본과 자료 수집
3.2 변수의 측정
Ⅳ. 가설 검증
4.1 인구통계학적 분석
4.2 상관관계 분석
4.3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4.4 가설검증
Ⅴ. 결론
5.1 연구의 결론
5.2 시사점 및 한계점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정윤정 Jeong, Yun-Jung. 경상국립대학교 산업경영학과 강사
  • 이희옥 Lee, Hee-Ok. 경성대학교 경영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