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군병사의 사회적지지가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Military Life Adjustment of Air Force Soldiers

이금중, 최은정, 김청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ir force soldiers' social support on their adaptation to military life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Air Force soldiers located in P-city, Gyeonggi-do, and a total of 269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daptation to military life, and resilience. Second, th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air force soldi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ird, resilience was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military life adaptation of air force soldiers.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Air Force soldiers to military life, measures to increase th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perceived by Air Force soldiers are need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공군병사의 사회적지지가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P시에 위치한 공군병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26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 군 생활적응, 회복탄력성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군병사의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은 군 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군병사의 사회적지지와 군 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공군병사의 군 생활적응의 향상을 위해서는 공군병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 사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사회적지지
2.2 회복탄력성
2.3 군 생활적응
2.4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3.1 연구의 대상
3.2 측정도구
3.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결과
4.3 매개효과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금중 Geum-Joong Lee. 경기대학교 행정복지상담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석사
  • 최은정 Eun-Jung Choi. 경기대학교 청소년학전공 초빙교수
  • 김청송 Chung-Song Kim. 경기대학교 청소년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