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50대 중년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안영미, 김경운, 최재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the life stress factors of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ffect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rumination.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collecting questionnaire data on variables from 230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liv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rumination, and self-resilience, life stres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rumination, but negative with self-resilience. Depress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uminatio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resilienc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umination and self-resilience. Second, rumin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path of stress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Third, self-resili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path of rumination's effect on depression.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life stress and rumination of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re risk factors that can cause depression, and self-resilience is a protective factor that can prevent depression by reducing rumin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50대 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 요인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자아탄력성과 반추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인천시,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50대 중년여성 230명을 대상으로 변인의 척도를 조사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반추, 자아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생활스트레스는 우울, 반추와 정적 상관관계이지만,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우울은 반추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반추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는 부 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로에서 반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 였다. 셋째,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로에서 자아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50 대 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반추는 우울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자아탄력성은 반추를 완화하여 우울 을 예방하는 중재요인임을 알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2.1 조사 도구
2.2 표집 및 자료수집
2.3 자료 분석
2.4 윤리적 고려
Ⅲ.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기술통계
3.3 변인 간의 상관관계
3.4 영향 관계 분석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안영미 Young-Mi An. 서정대학교 글로벌융합복지과 겸임교수
  • 김경운 Kyeong Uoon Kim. 다이동연구소 대표
  • 최재훈 Jae-Hoon Choi. 서정대학교 간호학과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