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eative Dance as an Aesthetic Educational Tool for Fostering Innovation : A Qualitative Case Study of Chinese Engineering Undergraduates

원문정보

혁신적 사고를 위한 미학적 교육 방법으로서의 무용교육 : 중국 이공계 학부생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Wang, Shaodan, Kim, InSul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nvestigation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aesthetic education in Chinese higher education to cultivate innovation and aesthetic sensibilities among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Drawing on embodied cognition theory, the research develops a creative dance education model to bridge the gap between aesthetic education and innovation in science majors. For research methods,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multi-source data analysis were used. Initially, participants exhibited shyness, lack of self-confidence, social awkwardness, and mistrust. The course significantly improved individual development(emotional resonance, self-awareness, creative thinking, artistic perception) and social skills(empathy, communication, teamwork). The study aligns with sustainable education principles, showing how aesthetic education catalyzes long-term development through a framework focused on “innovative capabilities,” offer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support for enhancing aesthetic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이공계 전공 학생들의 혁신적 사고와 미적 감수성을 배양하기 위해 중국 고등교육에서 미적 교육을 통합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체화된 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미적 교육과 이공계 전공자의 사이의 혁신적 사고와 미적 감수성 격 차를 해소하기 위한 창의적 무용교육모델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교육효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중국의 한 대학에서 개발된 창의적 무용교육모델을 질적 사례연구로 진행하여, 초점집단인터뷰, 참여관찰, 참여일지 등을 분석하였다. 처음에 참가자들은 수줍음, 자신 감 부족, 사회적 어색함, 불신을 드러냈으나, 수업을 통해 개인 발달(감정적 공감, 자기 인식, 창의적 사고, 예술적 지각)과 사회적 기술(공감, 의사소통, 팀워크)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예술적 경험은 학생들이 무용을 감정적이고 창의적인 매체로 인식하는 것을 심화시켜, 더 넓은 인지적,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미적 교육의 역할과 혁신을 촉진하 는 데 있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가치를 실증적으로 도출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Aesthetic Education and Research in Chinese Higher Education
2. Dance Aesthetic Education for Cultivating Innovation
3. Embodied Cognition Theory as Analytical Framework
Ⅲ. Developing Aesthetic Education Curriculum Model and its Evaluation Indicators
1. Developing Aesthetic Education Curriculum Model
2. Developing Aesthetic Education Quality Evaluation Indicators
Ⅳ. Research Methodology and Methods
Ⅴ. Research Results & Findings
1. Interview Analysis of the Initial Course
2. Analysis of Interview Results After the Course
3. Analysis of Participant Observation
Ⅵ.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Wang, Shaodan 왕소단. 가톨릭대학교 공연예술문화학과 박사수료
  • Kim, InSul 김인설. 가톨릭대학교 공연예술문화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