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저출생 시대의 상비병력 충원방안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Securing Standing Military Soldiers of Republic of Korea in the Future Ultra-low Birth Rate Era: Based on Predictions of the Size of the Future Standing Military Soldiers of South and North Korea

홍준기, 박상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to forecast the size of standing armed forces i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ace of a second demographic cliff, which is expected to fully manifest from the mid-2030s, and suggest practical recruitment measures to ensure the appropriate size of standing armed forces in Republic of Korea (ROK)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t and analyze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this study forecast demographic changes in North Korea and the size of North Korea (NK)’s armed forces. As NK’s population is not expected to decline as rapidly as ROK’s in the future, the size of NK’s standing armed forces is expected to remain similar to the current level of 1.2 million. Considering that the size of NK’s standing armed forces is currently approximately 2.56 time that of the ROK’s, the gap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is expected to further widen to approximately 3.5 times after 2030. Second, this research forecast demographic changes in the ROK during a second demographic cliff and the size of ROK’s armed forces. ROK is expected to face a demographic cliff across the board as it’s population is expected to drop below the psychological level of 50 million by 2040 while its fertility rate is expected to fall sharply to 0.72 in 2023 after reaching 0.98, which dives below 1 for the first time since 2018. Regarding the supply of armed forces, assuming that the ROK’s current military service system is maintained, the number of ROK’s standing armed forces is expected to decrease by about 150,000 from 500,000 by the end of 2022 to about 350,000 by 2040. Subsequently, ROK’s military is expected to face a chronic shortage of standing armed forces for a long period of time unless the country finds a breakthrough to recruit armed forces at the national level. Third, this article suggested the options that can be practically implemented to recruit armed forces, other than less feasible options, such as the all volunteer military system or the female conscription system, which have been discussed previously. As measures to recruit armed forces, this paper suggests introducing the volunteer-based military system and returnship for retired military officers, imposing mandatory military service for naturalized foreigners, and greatly increasing the number of female soldiers. This study forecasts and compares demographic changes and the size of standing armed for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in previous studies on determining the size of ROK’s standing armed forces in the future. Furthermore, this study has policy implications as it suggests creative options to recruit standing armed forces.

한국어

이 연구는 초저출생1)에 따라 2030년대 중반부터 가시화되는 2차 인구절벽 시대의 위기 에 대비하여 미래 북한군과 한국군의 상비병력 규모를 전망하고, 한국군의 적정 상비병력 확보를 위한 실질적인 병력충원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 남·북한 통계자료 분석, 사례연구 등 복합적인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3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평가하였다. 첫째, 미래 북한의 인구구조 변화와 북한군의 병력 규모에 대해 분석하였다. 미래 북한의 인구구조는 급격한 인구감소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북한의 상비병력 규모는 현재와 유사 한 120만 명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현재 북한의 상비병력 규모가 한국보다 약 2.56배 수준임을 고려할 때, 2030년대 이후에는 약 3.5배 수준까지 격차가 더욱 커질 것 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2차 인구절벽 시대 한국의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한국군의 병력 규모를 전망하였 다. 미래 한국의 인구구조는 2040년을 기준으로 심리적 한계선인 5천만명 이하로 감소하고, 합계출산율은 2018년 1명 이하인 0.98명으로 떨어진 이후 2023년 0.72명까지 급격하 게 하락하는 등 전방위적인 인구절벽 시대에 봉착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따라, 2022 년 말 기준 한국군 상비병력 규모 약 50만 명은 현 병역제도가 유지될 경우 2040년에는 약 35만 명 수준으로 현재 대비 약 15만 명 정도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따라서, 국 가 차원에서 특단의 병력충원 방안이 강구되지 않는다면 한국군은 장기간 만성적인 상비병 력 부족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우려되었다. 셋째, 다양한 병력충원 방안 중에서 기존에 논의되었던 모병제나 여성 징병제와 같은 실현 가능성이 작은 방안을 제외하고 여성을 포함한 지원병제, 전역 간부 대상 리턴십 (Returnship) 도입, 귀화 외국인 대상 병역 의무 부과, 여군 인력의 대폭 확대 등 실질적 으로 실현 가능한 병력충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미래 한국군의 상비병력 규모 판단과 관련된 기존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남·북한 인구구조 변화와 상비병력 규모를 전망하여 비교·분석한 창의적인 연구이다. 또한, 상비병력 충원방안을 현실성 있게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함의가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미래 북한군의 상비병력 규모 전망
Ⅲ. 미래 한국군의 상비병력 규모 전망
Ⅳ. 미래 상비병력 충원방안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준기 HONG Jun Ki. 육군대령, 국제정치학박사
  • 박상중 PARK Sangjung. 국방대학교 직무교육원 교수, 정책학박사, 한미연합사 정책자문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