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의 인지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보드게임 활용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2010년부터 2024년까지 장애 학생의 인지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보드게임 활용 연구 17편 을 선정하여 연도별 연구 현황, 연구 유형 및 중재 형태, 연구 대상 인원, 연구 대상 연령, 연구 대 상 장애 유형,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부 터 2024년까지 15년간 장애 학생의 인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보드게임 활용 연구는 총 13편 이며, 그중 2020년과 2018년에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총 13편의 연구를 연구유형 및 중재 형태 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유형에는 중재 유형과 개발 유형 중 중재 유형을 다룬 연구가 많았다. 다음으로, 개발을 제외한 10편의 연구에서 중재 형태로는 집단치료가 가장 많이 나 타났다. 셋째, 장애 학생의 인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보드게임 활용 연구의 연구 내 세부 분 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대상 인원의 경우 4명 이하로, 대상 연령으로는 학령기 그리고 장애 유형으로는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독립변인요소는 상품화된 보드게임을 활용한 연구가, 종속변인요소로는 사회적 기술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 장애 학생의 인지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보드게임 활용 연구 중 개발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애 학생의 인지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더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장애 학생의 인지적 의사소통 문 제는 전 생애에서, 그리고 장애 유형에 상관없이 지속적인 결함을 나타내기 때문에 추후의 연구에서 는 다양한 연령대 및 장애 유형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문헌 선정 기준
2. 문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연도별 현황 분석
2. 연구 중재 유형 및 중재 형태 분석
3. 연구 내 세부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