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경계선 지능인은 웩슬러 지능 검사 결과 지능 지수(IQ) 70 이상 80 이하, 혹은 70 이상 84 이하 로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에 위치한 사람들을 말한다.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히 제약을 받는 자'라고 하는 정의에 해당하는 장애인들과 달리 이들은 제도적 지 원을 받지 못하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실정에 따라, 본 연구는 경계선 지능인의 현황 및 상 황, 관련 법령을 살펴본 후 이들에 대한 부족한 사회적 관심을 채우기 위해 마련되어야 할 향후 과제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웩슬러 지능 검사 결과 상 지능 지수의 정규분포도에 따라 지능 지수 70~85 에 분포하는 비율이 전체 인구의 약 13.6%이므로 2024년 4월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총 인구 수 대 비 경계선 지능인의 수는 대략 705만명 정도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경계선 지능인은 조기 발견이 어 려워 학령기에는 학습 및 교우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성인기가 되어서는 구직과 직업 활동, 자립 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중등교육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 육법」, 「아동복지법」에서 경계선 지능 범주에 해당하는 사람을 규정하고, 그들에 대한 교육 정책 을 마련하도록 명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장애인뿐 아니라 경계선 지능인의 복지 정 책 수립 및 시행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경계선 지능인 실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고, 경계선 지능 조 기 진단을 위한 지능 검사 및 종합 심리 검사와 같은 체계적인 지원 제도와 진단 비용 및 센터 설립 비용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경계선 지능인 특성 맞춤형 치료 및 교육 마련과 교사 및 전문 인력들에 대한 연수 실시, 더불어 성인기 경계선 지능인의 자립된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성 훈련 및 직업 교육 등과 같은 지원 체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경계선 지능인의 현황 및 상황
2. 경계선 지능인 관련 법령
3. 향후 과제
Ⅲ.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