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names of Dynasties in East Aisa in the early and mid 10th century - Focused on the history education about the names of the countries with a regard to Later three Kingdoms of Korea and five Dynasties called ‘Wu-Tai’ in China -
초록
영어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Korean history textbook, there are some problems in history education about the names of countries in East Asia. I analyzed and compared the names of countries about the Later three kingdoms(Later Baekje, Later Goguryeo, Later Balhae) and five dynasties called ‘Wu-Tai’ in China in the early and mid 10th century. And I hope to suggest an alternative through this. First, I identified the lineages, origins, identities, and senses of succession of the founder of their countries. I was able to see that they are so different. And I also confirmed that there are nothing in common between the founders of five dynisties in China and their pre-empires. However, those countries were not called the names of their own countries to add a prefix ‘Later’ at that time. It was common adding ‘Later’ as a prefix to the names of those countries were only much later generation. Therefore, I assume it was a trend to follow the name of pre-dynasties, because those pre-dynasties were as a role model, irrespective of lineage or origin.
한국어
현행 한국사 교과서를 검토해본 결과 필자는 동아시아 각국의 국호 에 대한 역사교육에서 문제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 안을 제시해보기 위해 10세기 초중반에 해당되는 한국의 후삼국(후백 제⋅후고구려⋅후발해)과 중국의 5대 국가에 대한 국호를 분석하고 비 교해보았다. 이에 따라 각 건국자들의 혈통⋅출신⋅정체성⋅계승의식 등이 다양함을 파악하였다. 단, 중국 5대의 경우 건국자의 혈통은 이전 국가의 건국자와 전혀 관련이 없다는 공통점도 확인하였다. 그렇지만 당대의 실제 국호는 ‘후’가 접두사로 붙지 않았으며, ‘후 + 국명’은 모두 후대에 붙여진 국호라는 점은 동일하다. 그러므로 10세기 초중반의 동 아시아에서는 혈통이나 출신에 관계없이 과거의 국가를 모범으로 삼아 계승하고 국호를 그대로 쓰려는 문화가 유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목차
Ⅱ. 동아시아 각국의 국호에 대한 역사교육의 실제
Ⅲ. 한국의 후삼국 국호에 대한 분석
Ⅳ. 중국의 5대 국호에 대한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