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공앱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공공성과 기술준비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of Public Application : Focused on Publicness and Technology Readiness Acceptance Model(TRAM)

박태환, 오세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apid increase in smartphone ownership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ervice delivery in the mobile environment. Accordingly, the public sector is allocating budget and effort towards providing services through mobile applications. While some have recorded high download numbers, contributing to the proliferation of public services, issues such as low user engagement and budgetary concerns have simultaneously been rais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public apps wit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Technology Readiness Acceptance Model (TRAM) to enhance users' acceptance of public apps. Previous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system characteristics, but this study constructs the model with a significant consideration for user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through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publicness, which has been lacking in existing research, the study integrates this aspect into the model. Ultimately,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s into the factors influencing users' intention to use public apps and suggests approaches to enhance usage intentio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Digital Platform Government.

한국어

디지털 환경이 모바일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시민의 공공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해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을 중심으로 공공앱이 개발․확산되고 있으며, 정부의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추진에 따라 디지털 기반의 다양한 정부서비스가 새롭게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과 기술적 특성을 포괄하는 기술준비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개인별 특성과 기술수용 양상이 공공앱 사용의도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검증하였으며, 공공성(Publicness)의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고 공공앱의 유용성과 사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준비도의 낙관성, 혁신성(활성요인)은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준비도의 불안감은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에, 불편함(저해요인)은 이용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불편함은 이용 용이성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가졌다.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성은 유용성과 사용의도에 대해 정(+)의 유의한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플랫폼정부 등 모바일 기반의 공공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수용의도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제언과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공공앱
2.2 기술준비수용모델
2.3 공공성
Ⅲ. 연구모형 및 가설
3.1 분석대상 선정
3.2 연구모형의 설계
3.3 연구가설의 설정
3.4 변수의 정의 및 측정항목
Ⅳ. 가설검증 및 결과분석
4.1 자료수집 방법 및 표본의 특성
4.2 분석방법
4.3 동일방법편의 검증
4.4 측정모형의 검증
4.5 가설검증
Ⅴ. 결론 및 시사점
5.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5.2 연구의 시사점
5.3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태환 Tae Hwan Park.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선임연구원
  • 오세환 Se Hwan Oh.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