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본의 우생보호법 제정과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논의 ― 1945년부터 196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Eugenic Protection Act and Abortion in Post–war Japan

김율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debate that is centered on the Eugenic Protection Act and abortion in Japan from 1945 to the 1960s. For the purpose of rebuilding the country after the war, it was necessary to curb population growth, and the Eugenic Protection Act was implemented to legalize abortion. Many people who did not want to become pregnant and give birth turned to legalized medical abortion, and over one million abortions were performed annually. As a result, the birth rate sharply declined, reflecting the efficacy of the government's strategy to control births through abortion. However, long–term birth and fertility statistics showed that the decline in the 1950s can also be read as part of a larger population transition from fertility retain to fertility decline. On the other hand, in the 1960s, when the country entered a period of high economic growth, population growth appeared as a necessity to secure the labor force. The idea of abortion, which can lead to a labor shortage in the future, became an important issue. A discourse emerged then and spread that abortion is immoral and the women who chose to undergo an abortion were considered “perpetrators” who take the life of their unborn child. The debate on abortion entered a new phase after 1970 with the rise of feminism and criticism of eugenics. From this context, the period from 1945 to the 1960s can be considered the foundation of the abortion debate in Japan.

한국어

본 논문은 1945년부터 1960년대까지 일본의 우생보호법 제정 과정과 인공임신중절 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를 다룬다. 패전 후 국가 재건을 위해서는 인구증가를 억제할 필 요성이 제기되고 중절을 실질적으로 합법화하는 우생보호법이 제정된다. 임신과 출산 을 원치 않았던 많은 사람들이 합법적인 의료 시술인 중절수술을 받았고 1950년대에는 연간 100만 건이 넘는 중절 시술이 행해졌다. 1947년부터 1949년까지의 베이비붐을 제 외하면 출생률이 급감하였는데, 중절을 통해 출생을 억제하고자 했던 정부의 시도가 성 공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인 출생수와 출생률 통계를 통해 보면 1950년대의 출생률 저하는 다산소사에서 소산소사라는 인구 전환의 큰 흐름으로 읽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고도경제성장기에 진입한 1960년대에는 노동력 확보를 위한 인 구 증가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출생률의 감소는 장기적으로 인구구조의 고령화를 가져온다는 논의도 등장한다. 이에 출생을 중지시켜 미래의 노동력 부족 문제를 가져올 수 있는 중절을 문제시하는 의견이 등장한다. 중절은 비도덕적인 행위이며 중절을 택하 는 여성은 태아의 생명을 해치는 ‘가해자’라는 담론이 등장, 확산된다. 중절을 둘러싼 찬반 논쟁은 1970년 이후 페미니즘, 우생사상에 대한 비판 등의 등장으로 새로운 국면 을 맞이하며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1945년부터 1960년대까지의 시 기는 일본의 중절 논쟁의 토대가 마련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목차

<요지>
1. 서론
1.1. 연구배경과 목적
1.2. 선행연구 및 본 논문의 의의
2. 본론
2.1. 1945년부터 1950년대의 인공임신중절 합법화
2.2. 1960년대 중절반대 움직임
3. 결론
참고문헌(Reference)

저자정보

  • 김율리 Kim, Yulie.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