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変貌する出雲信仰 ― 古代ㆍ中世文芸における「出雲」 ―

원문정보

Transforming Izumo Faith: Izumo in Ancient and Medieval Japanese Literature and Art

韓正美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transformation of Izumo(出雲) faith, focusing on the literary arts of ancient and medieval Japan. The prototype of Izumo faith in ancient literature can be seen in the deity Okuninushi, who appears in the Kojiki and Nihonsyoki, and Okuninushi's greatest role is nation-building. In the Fudoki, Izumo-god is listed as Okami, and he was a god of nation-building as an agricultural deity. In addition, the story of Homuchiwake in the Kojiki, Izumo-god is described as a god of curses. Furthermore, Izumo-taisha is listed as a Meishin-taisha in the Engishiki Jinmei-cho. In the Senge Bunshu, the deity is praised as the most spiritual in the country, and the main shrine is described as the most splendid in the entire nation. In the Ogisho, it is written that the gods of various countries leave their places of worship and gather in Izumo.Izumo was recognized as a place where the gods gathered in the Kagakushu. In medieval literature and art, Izumo worship is described in Tsurezuregusa as the Izumo Shrine in Tanba, and Izumo is depicted as the object of deep piety. In the Oyashiro, the presence of a religious community centered around Izumo, since where the gods from across the country gather in Izumo in October. Izumo-taisha is also mentioned as the place where as many as thirty-eight shrines were recommended. Furthermore, in the Chirizuka Monogatari, it can be seen that Okuninushi assumed a new divine identity as Daikokuten, influenced by the phonetic similarity of Daikoku.

한국어

본고는 『고지키(古事記)』에서 요쿄쿠(謡曲) 『오야시로(大社)』에 이르기까지 고대・중세 문예에 나타난 ‘이즈모(出雲)’를 규명함으로써 이즈모 신앙의 변모 양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고대 문예에서 이즈모 신앙은 『고지키』 『니혼쇼키(日本書紀)』에 나타난 오쿠니누시(大国主) 신(神)에서 그 원형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역할은 「건국(国造り)」이다. 또한 『후도키(風土記)』에서는 「대신(大神)」이자 농경신이면서 건국신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지키』중권・스이닌기(垂仁記)의 호무치와케 이야기에서는 지벌의 신으로서의 이즈모 대신의 신위(神威)가 그려져 있다. 또한 이즈모 대사(出雲大社)는 『엔기시키 진메이쵸(延喜式神名帳)』에는 명신 대사(名神大社)에 열거되어 있으며, 『센게분슈(千家文集)』에는 제신(祭神)이 「전국 제일의 영신(霊神)」, 본전(本殿)은 「천하무쌍의 대하(大廈)」로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오기쇼(奥義抄)』에는 10월(神無月)에 각국의 신들이 진좌지를 떠나 이즈모에 모인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가가쿠슈(下学集)』에서도 이즈모는 신들이 모이는 장소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세 문예 중 이즈모 신앙은 우선 『쓰레즈레구사(徒然草)』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이즈모 대사의 분사(分社)인 단바(丹羽)의 이즈모 신사가 그려져 있다. 여기에서는 쇼카이(聖海) 승려 일행에게 깊은 신심을 일으키는 대상이 되고 있다. 간제야지로 나가토시(観世彌次郎長俊)의 요쿄쿠 『오야시로』에서는 10월에 전국의 신들이 이즈모에 모이기 때문에 이즈모에서는 ‘가미아리즈키(神有月)’, 이즈모 이외의 곳에서는 ‘간나즈키(神無月)’라고 표현하는 것에서 이즈모를 중심으로 한 신앙권의 존재를 짐작할 수 있는데, 이즈모 대사는 38개의 신사가 모시는 곳이라고도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즈모 대신이 등장하여 춤추는 장면에서는 용신(龍神)이 등장하여 용신과의 관계를 엿볼 수 있으며, 상자에서 작은 용을 꺼내어 이즈모 대신에게 바치고 있어서 이즈모 대신은 봉납을 바치는 대상으로 그려져 있는데, 이는 이즈모 대신이 영험한 신으로서 신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치리즈카 모노가타리(塵塚物語)』에서는 오쿠니누시 신이 다이코쿠텐(大黒天)으로 새로운 신격(神格)을 가지게 되는 것을 엿볼 수 있다.

목차

<要旨>
1. はじめに
2. 古代文芸における「出雲」—地の神から「国中第一之霊神」へ
2.1. 地の神・大神・農耕の神
2.2. 祟りの神
2.3. 「国中第一之霊神」
3. 中世文芸における「出雲」—深く信心を起こす対象から大黒天へ
3.1. 深く信心を起こす対象
3.2. 三十八社勧請の地
3.3. 霊験あらたかな神
3.4. 大黒天
4. おわりに
参考文献(Reference)

저자정보

  • 韓正美 Han, Chong Mi. 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訪問研究員、日本古典文学専攻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