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930년대 일본어문학과 재조일본인 여성 표상 ― 『경성일보』의 「봄을 기다리며(春を待つもの)」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Japanese Language-Literature and the Representation of Japanese Female Settlers of Chosun in the 1930’s : Focusing on “Waiting for Spring” in the Keijyonitpo

송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Keijyonitpo recruited novels with a prize money to commemorate the publication of 10,000th in 1935. In this recruitment, which does not limit the theme of the novel, Haruko Yamashita's “Waiting for Spring” was selected at the second place. Haruko, a graduate from ‘Gyeongseongjeil Girls High School’, depicted female students of her school and their families in the background of Gyeongseong. As Japanese society stabilized in colonial Chosun, the Japanese settlers did not feel as conscious or threatened by Chosun people as they did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Therefore, “Waiting for Spring” Chosun people are stereotyped as lower classes or depicted as landscapes. Moreover Japanese female settlers represented in Japanese literature in the 1930’s are different from those from early colonial period. In the early Japanese language literature, Japanese female settlers are depicted as immigrating to an unfamiliar Chosun, feeling fear and anxiety about the Chosun people. However, the main character, Aiko, in the novel of “Waiting for Spring” represents Chosenko, Japanese woman who was controversial in the Japanese society of colonial Chosun, that she was self–centered and frivolous. “Waiting for Spring” depicts Aiko’s final moment as an unhappy divorced woman and a woman trying to find her own life again. In the 1930’s, as a generation emerged that recognized Chosun as ‘Colonial Furusato (her homeland)’, it was a warning to the second generation of Japanese female settlers in colonial Chosun that they should not continue to live as ‘Josenko’.

한국어

『경성일보』는 지령(紙齢) 1만 호를 기념하는 사업으로 현상소설을 공모(1935)하는데, 여기에 야마시타 하루코(山下ハル子)의 「봄을 기다리며」가 2등에 당선된다. 이 소설은 경성제일고등여학교 출신 작가가 자신이 살았던 경성을 배경으로 일본인들의 정혼과 파혼, 배신, 파산, 죽음 등을 다루고 있어, 통속소설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봄을 기다리며」에는 일본인만을 위한 학교에서 자신들만을 위한 교육을 받고, 일본에서 즐겼 던 문학을 여전히 향유하는 등 식민지 본국의 연장 속에 있던 재조일본인의 일상이 재 현되고 있다. 또한 경성, 원산, 대구, 고양 등 조선의 각 장소가 가진 지역적 성격이 적절 하게 이용힘으로써 리얼리티를 더하고 있다. 하지만, 조선인은 하층계급으로 정형화되 어 있고 작품의 전개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는다. 조선인은 갈등을 일으키거나 의 식해야 할 대상이 아닌, 배경으로 배치된 ‘풍경’으로서만 존재한다. 재조일본인 여성 역시 조선인을 위협의 대상으로 여겨 불안과 공포를 느끼는, 식민 지 초기 일본어문학에 재현된 일본인 여성과 차이를 보인다. 특히 주인공 아이코(愛子) 는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사회에서 문제시되던 조선 출신 일본인 여성인 ‘조 센코’를 표상하고 있다. 작품 속 화자는 아이코가 사치하고 자기중심적이라고 재단하는 데, 이는 가정주부로서 부적합하다는 ‘조센코’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봄을 기다리며」 는 이러한 아이코의 최후를 이혼당하는 불행한 여성, 다시 자신의 삶을 찾아가는 여성 으로 묘사함으로써 ‘조센코’에 대한 경고를 내리고 있다. 1930년대, 조선을 ‘식민지에서 후루사토(고향)’으로 인식하는 세대가 등장하는 가운데, 「봄을 기다리며」는 ‘조센코’로 계속 살아서는 안 된다고 하는 재조일본인 여성 2세에 대한 경고를 보여주고 있다.

목차

<요지>
1. 들어가며
2. 1930년대 현상소설모집 배경과 일본인 사회
3. 「봄을 기다리며」의 일본인 가정과 조선
4. 「봄을 기다리며」의 재조일본인 여성 표상
5. 나오며
참고문헌(Reference)

저자정보

  • 송혜경 Song, Hye Kyung.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연구교수, 일본근대문학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