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스크린골프의 게이미피케이션 속성이 몰입 및 지속이용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Gamification Properties of Screen Golf on Flow and Continuous Use

김형우, 정일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amification properties of screen golf on flow and continuous use. Through thi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gamification properties of screen golf that users of screen golf are directly attracted to and using them as basic data to strengthen the gamification of screen golf. [Method] To this end, in July 2023,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00 users who visited seven screen golf cours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287 of them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 First, most of the gamification properties of screen golf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low, but compensation did not affect immersion flow. it was found that the gamification properties of screen golf had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and compensation did not affect continuous use. Third, screen golf users' flow through gamifica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continuous use. [Conclusion] Screen golf user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gamification of screen golf that cannot be felt on the field, and these attributes have been found to make them more flow in screen golf and have an impact on continuous use.

한국어

[목적] 이 연구는 스크린골프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직접적으로 매력을 느끼는 스크린골프의 게이미피케이션 속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스크린골프의 게이미피케이션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3년 7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스크린골프장 7개소를 방문하여 이용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28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스크린골프의 게이미피케이션 속성 대부분은 몰입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상은 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크린골프의 게이미피케이션 속성이 지속이용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은 지속이 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크린골프 사용자의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한 몰입은 지속이용에 정적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크린골프 사용자들은 필드에서 느낄 수 없는 스크린골프의 게이미피케이션 속성 중 경쟁, 관계, 도전, 접근 속성에 대해 긍정적인 지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속성들이 스크린골프에 더욱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적인 이용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구성변인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4. 자료처리방법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분석
2. 연구모형의 적합도
3. 가설검증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형우 Kim, Hyung-Woo. 세한대학교
  • 정일미 Chung, Il-Mi. 호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