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골프장 가격공정성, 지각된 가치 그리고 방문의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Golf Course Price Fairness, Perceived Value, and Visit Intention

최윤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golf course price fairness,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as perceived by consumers, using price, which is an essential item in golf course revenue management, as the main factor.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urvey, a survey was conducted limited to those who visited golf courses located in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do within the past year. Since it is premised on evaluating the perceived value by judging the fairness of the price of the golf course, it was judged that a certain level of memory or thinking is required to evaluate the perception, so it is necessary to have experience using it within the past one year.[Result] Looking at the results, situational fairness and price fairness, which are sub-factors of golf course price fair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sit intention. [Conclusion] This study drew implication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consumer choice through golf course grading systems, quality systems,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golf courses other than regular holes, and efforts to minimize essential items other than green fees.

한국어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골프장 가격공정성이 소비자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골프장 수 익관리의 필수적인 항목인 가격을 주요인으로 하여 소비자가 인식하는 골프장 가격공정성, 지각된 가치와 방문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한다. [방법] 조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근 1년 이내에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에 위 치한 골프장에 방문했던 대상자로 한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골프장 가격 공정성을 판단하여 지각된 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지각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기억이나 사고의 작용이 요구되기에 최근 1년 이내 이용경험이 있어야 된다고 판단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201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AMOS 프로 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골프장 가격공정성의 하위요인인 상황공정성과 가격자체 공정 성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지각된 가치는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 에서는 골프장의 등급제, 품질제, 정규홀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골프코스 형태 개발, 그린피 이외의 필수항목의 최소 화 노력 등을 통해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높이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변인
3. 연구모형
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2.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3. 연구모형의 평가 및 가설의 검정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윤근 Choi, Youn-Geun. 장안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