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골프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감성적 실재감 및 장기적 관계지향성 간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Styles of Golf Coaches and the Emotional Presence and Long-Term Relationship Intention

김기웅, 김욱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styles of golf coaches and emotional presence, as well as long-term relationship inten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insight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golf coaches and contribute data for the growth of the golf industry. [Method] A total of 328 golf lesson participants resid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H1-1, The linguistic communication of golf professionals will influence emotional realism, H1-2,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golf professionals will influence emotional realism, H2-2,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golf professionals will influence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and H3, Emotional realism will influence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were accepted. However, H2-1, The linguistic communication of golf professionals will influence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was rejected.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golf lesson instructors can maintain favorable relationships and satisfaction by providing satisfactory levels of information and clear justifications about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trust and friendliness towards instructors through elements such as a pleasant voice tone, pronunciation, and clear articulation of arguments, enabling the continuous maintenance of relationships.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골프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감성적 실재감 및 장기적 관계지향성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 써 골프 지도자들의 질적 향상 및 골프산업 성장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골프레슨 경험자를 대상으로 328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H1-1 골프 레슨프로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감 성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골프 레슨프로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감성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2 골프 레슨프로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감성적 실재 감은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채택되었으며, H2-1 골프 프로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골프 레슨 지도자가 만족할 만한 수준의 정 보, 명확한 근거 제시 등을 통해 주변 환경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호감가는 목소리 톤, 발음, 명확한 주장 등을 통해 지도자에 대한 신뢰와 친근감을 동시에 갖게 하여 지속적으 로 관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가설설정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타당도 및 신뢰도
4. 자료처리방법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2. 연구모형의 검증
3. 가설검증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기웅 Kim, Ki-woong. 전주대학교
  • 김욱기 Kim, Wook-ki. 용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