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훈련 요구분석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사례연구

원문정보

Literature Review and a Case Study on Training Needs Assessment

백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raining needs assessment is a very vital process to conduct effective training programs.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fessionals must have clear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of training needs assessment and training needs assessment methodologies with their pros and c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literature review on training needs assessment and the data gathering methods and to conduct a case study. Seventy one line workers were selected as interviewees through a random sampling, and 123 stories were collected through critical incident technique. The results show four training needs areas: (1) the training needs on teamwork, (2) the training needs on volunteering behavior besides given tasks, (3) the training needs on observing work manuals and regulations, and (4) the training needs on quality management.

한국어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요구분석은 효과적인 프로그램 수행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며, 교육훈련 요구분석의 정확한 개념에 대한 이해, 수행방법상의 장·단점, 선행 연구자들의 교육훈련 요구분석 사례 분석을 통해 이론과 연계된 실무상의 요구분석을 이해하는 것은 산업교육 전문가들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분석에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고 제조업체A의 사례연구를 통해 요구분석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작위추출을 통해 제조업체A의 생산직 종사자 71인을 인터뷰 대상자로 선정하고, 중요사건기법을 사용하여 총 123개의 중요사건 스토리를 수집하였다. 팀웤에 대한 교육요구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본인 책무 외의 업무라도 자원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요구, 매뉴얼이나 회사의 규정, 근무시간 준수에 대한 교육요구, 품질관리 및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극적인 해결책 수행을 위한 교육요구가 도출되었다.

목차

요 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교육 요구분석의 정의
  2. 교육훈련 요구분석 자료수집
  3. 교육 요구분석의 역할
  4. 선행 연구에 나타난 기업 교육훈련 요구분석 사례
 III. 사례 연구: 제조업체A
  1. 제조업체A의 배경
  2. 교육요구 자료수집
  3. 교육요구 자료분석
  4. 교육요구 자료분석 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지연 Jeeyon Paek.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전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