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후기 궁능(宮陵)을 통해 본 유해목(有害木)의 범주와 관리 양상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ategory and Management Aspects of Harmful Trees in the Royal Palaces and Tombs of the Late Joseon Dynasty

오준영, 김충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iscussed the categories and management aspects of harmful trees in royal palaces, shrines, and tomb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maintenance of trees and vegetation in royal palaces and tomb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Harmful trees in royal palaces and tombs are divided into Chunghaemok Tree(蟲害 木, insect infested tree), Gosamok Tree(枯死木, dead tree), Dobokmok Tree(倒伏木, fallen tree), Gijangmok Tree(倚墻木, wall-leaning tree), and Yumyemok Tree(陰翳木, shade tree). Although Chunghaemok Tree and Gosamok Tree are types of damaged trees, they were recognized as harmful trees that harm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royal palaces and royal tombs. Gijangmok Tree adjacent to the fence and Dobokmok Tree that fell to the ground were harmful trees that could cause damage to the structure. The Yumyemok Tree was managed as a harmful tree in that it interferes with sunlight and grass growth by forming a shade. According to the records, the Dobokmok Tree shows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the Yumyemok Tree, the Chunghaemok Tree, the Gosamok Tree, and the Gijangmok Tree in that order. In royal palaces, shrines, and tombs, when harmful trees occurred, the problem was solved through active measures. In the case of palaces, follow-up measures for Dobokmok Tree was most noticeable, and in shrines, the management of harmful trees was carried out overall, except for the Chunghaemok Tree. In the case of tombs, discussions and work were conducted to dispose of harmful trees in most royal tombs. In particular, Dobokmok Tree and Yumyemok Tree, which occurred in the burial mound and Gokjang(曲墻) areas, were mainly managed, and the management of harmful trees around major buildings in the cemetery, such as Jaesil(齋室), Jeongjagak(丁字閣), Subokbang(守僕房), and Bigak(碑閣), was also carried out. Among the measures against harmful trees, notable principles and countermeasures today are also identified. First, hazard trees judged as potential harmful trees were preemptively cut down before the problem occurred. Second, logging of harmful trees fully considered the quantity and scale, and a separate standard was established to avoid indiscriminate overlogging. Third, harmful trees cut down were frequently recycled as wood for construction and repairs. Fourth, the observation and and follow-up measures for harmful trees were stipulated as separate guidelines or regularized as periodic implementations if necessary.

한국어

본고는 조선 후기의 궁궐, 단묘(壇廟), 능묘(陵墓)를 대상으로 유해목(有害木) 의 범주와 관리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향후 궁능유적의 수목 및 식생 정비에 참 조할 수 있는 기초 자료 구축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궁능의 유해목은 충해목(蟲害木), 고사목(枯死木), 도복목(倒伏木), 기장목(倚 墻木), 음예목(陰翳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충해목과 고사목은 피해목의 일종이 지만, 궁능의 보존관리상 해를 주는 유해목으로 인식되었다. 담장에 연접한 기장 목과 땅으로 쓰러진 도복목은 상황에 따라 구조물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는 유해 목이었다. 음예목은 음지를 형성하여 일조(日照)와 잔디 생장을 방해한다는 점에서 유해목으로 관리되었다. 기록상 도복목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며, 음예목, 충해목, 고사목, 기장목 순으로 뒤를 따른다. 궁궐, 단묘, 능묘에서는 유해목이 발생할 경우 적극적인 대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였다. 궁궐의 경우 도복목에 대한 후속 조치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단묘에 서는 충해목을 제외한 유해목의 관리가 전반적으로 이루어졌다. 능묘의 경우 대 다수 왕릉에서 유해목을 처리하기 위한 논의와 작업이 전개되었다. 특히 봉분과 곡장(曲墻) 일대에서 발생한 도복목과 음예목이 중점적으로 관리되었으며, 재실 (齋室), 정자각(丁字閣), 수복방(守僕房), 비각(碑閣) 등 묘역 내 주요 건축물 주 변의 유해목 관리도 병행되었다. 유해목에 대한 조치 중 오늘날 주목할 만한 원칙과 대응 방식도 확인된다. 첫 째, 잠재적 유해목으로 판단된 위험목은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베어 없앴다. 둘째, 유해목에 대한 벌목은 수량과 규모를 충분히 고려하는 동시에 별도 의 기준을 마련하여 무분별한 남벌(濫伐)을 지양하였다. 셋째, 베어 낸 유해목은 건축 및 수리용 목재로 빈번하게 재활용되었다. 넷째, 유해목에 대한 예찰(豫察) 과 후속 조치는 필요시 별도 지침으로 규정되거나 주기적 시행을 통해 정례화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범위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유해목의 유형과 발생 비중
2. 공간별 유해목 관리의 주요 내력과 경과
3. 유해목 관리의 주요 원칙과 대응 방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준영 Oh, Jun-Youn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강사.
  • 김충식 Kim, Choong-Sik.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