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남양주 불암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의 도금층 특성 분석을 통한 제작기술 해석

원문정보

The Study of Production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Plating Layer of the Wooden Seated Shakyamuni of Bulamsa Temple in Namyangju

김은아, 김성곤, 신현일, 김규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of the Buddha statue surface and the plating of gold were investigated through non-destructive analysis of the gold surface, colored pigments, and sample analysis results of the plating layer on the Wooden Seated Shakyamuni at Bulamsa Temple in Namyangju from Korea. The gold surface is divided into matte and glossy parts. The matte part is a mixture of gold, titanium, and iron, so it is confirmed that gold powder and pearl mica pigment are used, and only gold foil is used in the glossy part. In the analysis of color pigments, the components of the green beard and green eyebrows are emerald green or scheele’s green, the mixed components of white and black eyes are ink (C), and the black eyes are first colored brown and then black. It is believed that the red color of the lips is cinnabar and the black color of the hair is colored with ink. As a result of the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plating, it is determined that it is composed of a fiber layer, a charcoal layer, and a plating layer and that soil was used insid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Buddha statue. The plating layer is made up of gold leaf and lacquer and is confirmed to be pure gold in the four layers of gold leaf. Depending on the color of the lacquer, red is chlorine, calcium, and potassium, and yellow and orange are cobalt, manganese, and ir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남양주 불암사 목조석가여래좌상에 대한 금 표면, 채색 안료의 비파괴 분석과 도금층에 대한 시료 분석을 통하여 불상 표면의 구성 성분과 도금 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무광과 유광 부분으로 구분한 금 표면은 무광은 금, 티타 늄, 철이 혼합되어 있어 금분과 펄마이카를 사용, 유광은 금박만 사용된 것으로 확인된다. 채색 안료는 녹색 수염과 눈썹의 성분이 양록 또는 셸레즈 그린, 백색 눈동자는 연백, 흑색 눈동자는 석간주와 먹(C)으로 혼합되었으며, 검은색 눈동자는 갈색을 먼저 채색한 후 흑색을 덧칠한 것으로 보인다. 입술의 적색은 진사이며 나발의 흑색은 먹으로 채색된 것으로 판단된다. 도금 단면은 섬유층-목탄층-도 금층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토양이 사용되어 불상의 형태를 유지한 것으로 판단된 다. 섬유층은 천바르기 작업을 위해 섬유와 옻칠이 사용되었고, 목탄층은 목재와 광물이 혼합되어 있다. 도금층은 금박과 옻칠로 이루어져 있고, 금박 4개 층으로 순금이다. 이를 통하여 이 불상은 개금불사가 최소 4회 이상으로 확인되며, 옻칠 의 경우 적색, 흑색, 황색, 주황색으로 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색상에 따라 적색과 흑색은 염소, 칼슘, 칼륨이 황색과 주황색은 코발트, 망간, 철로 미량 원소에 따른 차이를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Ⅲ. 연구 방법
1. 비파괴 분석
2. 시료 분석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1. 금 표면
2. 채색 안료
3. 도금층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아 Kim Eun A . 연구교수,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 김성곤 Kim Seong Gon. 박사수료,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국립공주박물관
  • 신현일 Shin Hyeun Il. 석사수료,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김규호 Kim Gyu Ho. 교수,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