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강원지역 의료, 정밀, 광학기기 상품의 수출변동과 국내 지역 간 경쟁력 분석
초록
영어
Purpose :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angwondo’s HS90 product group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20% of Gangwon-do's export as a regional basic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e constant market share models are employed to decompose export fluctuations by factors and the spatial shift-share model is used to compare Gangwon-do's export competitiveness of medical, precision, and optical devices with domestic competing regions. Results : The structural effect, the market effect, and the commodity effect indicate that export growth is concentrated on sluggish markets and global preference for HS 90 products is low. The static and dynamic competitiveness effect show that Korea's lower market share is the biggest factor in the exports decrese, and Korea's market share falls in fast-growing markets and, conversely, rises in slow-growing markets. Conclusions : Gangwon-do's export structure not only fails adapting to the trends of the global market, but the future export prospects are not bright due to the low attractiveness of HS90 products.
한국어
의료·정밀·광학기기(HS90)는 강원도 수출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기반산업으로 수출 변동이 지역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지대하다. 이에 비해 강원도의 정밀·광학기기 수출이 전국에서 차 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의 의료·정밀·광학기기(HS90)의 수 출증대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CMS 모형을 이용하여 수출변동을 요인별로 분해함과 더불어 강 원도의 의료·정밀·광학기기의 수출경쟁력을 공간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해 국내 경쟁지역과 비 교한다. 불변시장점유율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의 HS90 수출이 전 기간에 걸쳐 감소하며, 코로나19로 인한 제한이 완화된 이후에 수출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함을 보인다. 구조적 효과, 시장효과, 상 품효과를 통해 수출 성장이 부진한 시장에 집중되고, 글로벌 선호도가 낮다는 것을, 그리고 정태적 경쟁력효과는 한국의 점유율 하락이 수출감소의 가장 큰 요인이라는 것을, 동태적 경 쟁력효과는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이 하락하고 반대로 더디게 성장하는 시 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이 상승한다는 것을, 순이차효과와 동태적 구조효과를 통해 한국의 수출 구조가 세계시장의 흐름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과 상품효과를 통해 HS90에 대 한 매력이 낮아 향후 수출전망이 밝지 않다는 것도 밝힌다. 공간변이할당분석을 통해 HS90의 매력 저하가 수입수요 감소로 연결되고, 강원도의 경쟁력이 전국에서 10위로 중하위권에 속한 다는 것을 보인다. 전반적으로 HS90에 대한 낮은 매력이 쇠퇴하고 있고 한국의 경쟁력과 시장 구조가 불리하게 작용하여 수출전망이 밝지 않으며, 국내에서도 강원도의 우위가 명확하지 않 음을 밝힌다.
목차
〈국문초록〉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The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Ⅳ. The Spatial Shift-ShareShare Analysis
Ⅴ. Summary and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