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농지개혁의 한계가 일본 경제민주화에 미친 영향 : 종합지 『세카이(世界)』의 논의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Impact of Japan’s Agrarian Reform on Its Economic Democratization ‒ Focusing on Arguments in Sekai

김웅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es on arguments for Japan’s agrarian reform found in the monthly opinion journal Sekai published in the latter part of 1946 and examines how it relates to Japan’s economic democratization. The authors of the theses cite as achievements that the agrarian reform focused on the creation of self-farming and eradicated the vested interests of absentee landowners through unearned income. It is because absentee landowners had become industrial capitalists with unearned and unearned income as their source of income. They considered their contribution to eliminating such class contradictions as an achievement of the reform. At this time, an indispensable condition for matured capitalism of industry in general was economic democratization, and under the social conditions of Japan at that time, the prerequisite for achieving economic democratization was enhanced agricultural produ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authors discussed how to maintain and develop these achievements; however, they could not reach the point of any solution. Nevertheless, the arguments of the Japanese intellectuals presented in Sekai remain valid today, given that the various issues on which their discussions focused continue today.

한국어

본고는 1946년 후반에 출판된 종합지 『세카이(世界)』에 개재된 농지개혁에 관한 일련의 논고에 착목하여 농지개혁이 어떠한 것이며 그것이 일본 경제민주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관한 논의를 검토했다. 논고의 저자들은 농지개혁이 자작농 창출에 중점을 두고 부재지주의 기득권화를 근절한 점을성과로 꼽았다. 부재지주는 불로소득을 원자로 산업자본가가 되는 등의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이러한 계급적 모순 해소에 기여했던 것을 농지개혁의 성과로 인식했다. 또한, 산업 전반의 발전에 빼놓을 수 없는 요소로 경제민주화를 들었으며, 당시 일본의 사회상황에서 경제민주화의 전제조건이 되는 것이 농업생산성 제고라는 인식을 같이했다. 한편, 이러한 성과를 어떻게 지속 발전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루어졌지만, 명확한 방안은 제시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그들의 논의가 주목한 제반 문제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있는 점을 감안할 때, 『세카이』를 통해 제시된 농지개혁 당시 일본 지식인들의 논의는 오늘날에도여전히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일본어

本稿は1946年後半に出版された総合オピニオン誌 『世界』における農地改革をめぐ る一連の 論考に着目し、農地改革がいかなるものであり、それが日本の経済民主化にいかな る影響を及 ぼすのかに関する論議を検討した。 論考の著者らは、農地改革が自作農の創出に重点を置き、不在地主の既得権化を根 絶したこ とを成果として挙げている。不労所得を原資として不在地主が産業資本家になって いたからで ある。彼らはこのような階級的矛盾の解消に寄与したことを農地改革の成果と認識 していた。 また、産業全般の発展に不可欠なのが経済民主化であり、当時の日本の社会状況に おいて、経済 民主化の前提条件となったのが農業生産性の向上であるという認識も共有していた 。 一方、このような成果をどのように持続⋅発展させるかという問題についても議論が 行われ たが、明確な方策は提示されなかった。しかしながら、彼らの議論が注目した諸問 題が今日まで 持続していることを鑑みる際、『世界』において提示された農地改革当時の知識人 による議論は、 今日もなお有効であると言える。

목차

1. 서론
2. 농지개혁의 내용과 전전 시기와의 연속성
3. 『세카이』에 나타난 농지개혁에 대한 일본 지식인의 인식
1) 저자들의 공통 인식
2) 영세성이 지탱하는 일본 농업의 봉건적 생산구조
4. 생산성 제고의 전제조건으로 거론된 경제민주화
5. 농지개혁의 성과를 지속시키기 위한 방안
6. 결론
reference
abstract
abstract
abstract

저자정보

  • 김웅기 Kim, Woongki. 한림대학교 연구소 HK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