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성형 인공지능의 저작권 침해 예외 규정으로서 공정이용 법리의 유효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원문정보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validity of fair use law as an exception to copyright infringement in generative AI

방정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s commercialized throughout society as ‘generative AI’, the debate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copyright protection is entering a new phase. Unlike existing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llows users to directly issue commands using human language rather than coding, and recognizes visual data such as pictures, photos, and videos directly through a variety of multimodal programs being developed. It is possible to express it in human language in the interface. In addition, unlike exist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utilizes expert knowledge in a specific field, it has the greatest differentiation in that it functions as a ‘general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ive AI) that can be utilized comprehensively throughout society. The problem of copyright infringement i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ing discussed from two aspects. First, the issue of copyright infringement on the vast amount of data learned by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during the development stage, and second, the issue of copyright infringement on the vast amount of data learned by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during the development stage. This is an issue of copyright infringement by various products. Of course, exist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also used data for learning, and there have been conflicts over copyright infringement as a result. And from the perspective of promot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the law has been considering various methods, such as the legal principles of fair use, TDM exemption provisions, and terms of use, to apply exceptions to copyright infringement.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various laws that have been discussed for exceptions to copyright infringement are entering a new phase. The TDM exemption regulations that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d rushed to announce were postponed, and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the strength of fair use review, which has been maintained to recognize exceptions to copyright infringement since the Campbell precedent, has been strengthened in recent precedents. Meanwhile, in our case, the TDM exemption regulation was announced as included in the “Copyright Act Amendment” at the end of 2021, similar to foreign cases, but was postponed with the emergenc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2022. However, in our recent case law applying the legal principle of fair use, a ruling was made similar to the fair use judgment criteria in the US case law before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So, is it necessary to change our precedents in the era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or should we grant comprehensive rights to create secondary works by broadly citing transformative use and promote new industrial fields through this? Discussion will be needed.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legal principle of fair use that has been applied as an exception to copyright infringemen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changes in the fair use legal principle in recent U.S. cases, and the legal principle of fair use is used to apply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s general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whether it can still be applied effectively even in the new environment of its emergence, we would like to discuss that the legal principle of fair use still has some validity in various copyright infringement cases, such as data learning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한국어

생성형 인공지능이 ‘일반인공지능’(generative AI)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상용화됨에 따라 지적 재산권 및 저작권 보호에 관한 논쟁이 새로 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은 기존의 인공지능과 달리 코딩이 아닌 인간의 언어로 사용자가 직접 명령을 내리고, 다양하게 개 발되고 있는 멀티모달 프로그램을 통해 그림이나 사진, 동영상 등의 영 상자료를 바로 인식하여 하나의 인터페이스에서 인간의 언어로 표현된 명령의 결과물을 생산한다. 또한 특정분야에서 전문가적 지식을 활용했 던 기존의 인공지능과는 달리, 사회 일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파운데이션 모델로서 범용인공지능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 존의 인공지능과 차별성을 가진다. 생성형 인공지능의 저작권 침해 문제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 되고 있는데, 첫째, 생성형 인공지능이 개발 단계에서 학습한 방대한 데 이터에 대한 저작권 침해 이슈이고, 둘째, 방대한 데이터 학습을 통해 개발된 생성형 인공지능이 만들어 내는 다양한 생성물과 이차 저작물에 의한 저작권 침해 이슈이다. 물론 기존 인공지능 모델들도 학습에 데이 터를 사용했고, 이로 인한 저작권 침해 갈등은 존재해 왔다. 그리고 이 때 법은 인공지능산업 진흥의 관점에서 저작권 침해의 예외 적용을 위해 공정이용의 법리, TDM 면책규정, 이용약관 등의 다양한 방식들을 고민 해 왔다. 그런데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과 함께 그간 저작권 침해의 예외 적 용을 위해 논의되었던 다양한 법제들의 적용과 해석이 새로운 국면을 맞 이하고 있다. 세계 각국이 앞다투어 발표했던 TDM 면책규정을 유예하 였고, 미국의 경우 Campbell 판례 이후 저작권 침해 예외 인정을 위해 유지되어 오던 공정이용의 심사 강도가 최근 판례에서 변경되고 있다. 한편, 우리의 경우 TDM 면책규정과 관련하여, 외국의 사례들과 유사 하게 2021년 말 인공지능산업의 진흥을 위해 저작권법 개정안에 포함되 어 발표되었으나 2022년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과 함께 유예되었다. 그런데 최근 공정이용의 법리를 적용한 우리의 판례에서는 생성형 인공 지능 개발 이전으로 회기하여 미국 구글의 공공도서관 판례에서의 공정 이용 판단기준과 유사한 판결을 내린바 있다. 그렇다면 생성형 인공지능 의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의 판례에도 변경이 필요한 것인지, 아니면 변 형적 이용을 폭넓게 인용하여 이차 저작물을 만들 수 있는 포괄적인 권 리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산업분야의 진흥을 도모할 것인지에 대 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간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저작권 침해의 예외 사유 로 적용되어 온 공정이용의 법리와 최근 미국판례에서의 공정이용 법리의 변화를 분석하고, 공정이용의 법리가 범용인공지능으로서 생성형 인 공지능의 등장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도 여전히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시론적 고찰을 통해 공정이용의 법리가 생성형 인공지능의 데이터 학습 등 다양한 저작권 침해 사례에서 일정 부분 여전히 유효성 을 가짐을 논의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생성형 인공지능의 저작권 침해 사례와 공정이용의 법리
Ⅲ.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과 공정이용 판단기준의 변화
Ⅳ. 생성형 인공지능에서 공정이용 법리의 유효성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방정미 JungMi Bang. 명지대학교 법과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