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ation of SSEIT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Measurement Tools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safety as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safety and well-being of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To achieve th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SSEIT measurement tool was classified into 6 factors. A high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necessity of emotional safety scal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yes" responses, experience of over 15 years but less than 20 years, occupations (construction work, fire-fighting equipment construction), education level (college graduate), and age groups (50s, 30s, 20s, 40s). The study 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SSEIT measurement tool for assessing emotional intelligence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and identified the similarity between the necessity of emotional safety scal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suggests actively utilizing this scale to enhance emotional safety on construction sites, contributing to improving safety management and the well-being of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 산업에서 안전성을 높이고 근로자의 웰빙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의 감성안전을 탐구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결과 SSEIT 측정도구가 6요인으로 분류 되었다. 감성안전척도 필요성과 인구학적특징 간의 유사성에서 필요하다는 “예”응답과 경력15년 이상에서 20년 미만, 직 종(건축공사, 소방설비공사), 학력(대졸), 연령(50대, 30대, 20대, 40대)등의 관계가 높게 확인되었다. 건설현장 근로자의 감성지능을 측정하는 SSEIT 측정도구가 신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감성안전척도의 필요성과 인구학적 특성 간의 유사관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설현장에서의 감성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당 척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 음을 제시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연구 결과는 건설 산업의 안전관리 및 근로자의 안녕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감성안전(감성지능)측정도구 문헌고찰
2.1 감성안전측정도구 고찰
2.2 선행연구 통한 감성지능 개념이해
2.3 감성안전(지능)의 구성변수
2.4 감성안전(지능)의 척도검증의 분석방법
3.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