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진을 활용한 시창작 교육 방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Poetry Creation Using Photography

성은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paper examined the intertextuality of the influence and acceptance of poetry and photography, and studied the method of poetry creation education using photography. The understanding of poetry and photography was explained by connecting images with aesthetic attributes and imagination. With these cultural contents, he presented some characteristic relationships between poetry and photography while looking into what he wants to tell the world. First, the discovery of the moment and the record of reality led to the discovery of people and their affection for things, and secondly, the aesthetics of implication and abandonment were show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itles and images. Sympathy between poetry and photography was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ther people’s emotions. Looking at these points, I suggested a method of creating poetry using photos. In the hybrid area of poetry and photography, Dica-poem is a form in which a poet captures poetic images and shows pictures and poems in multiple languages, and Photo-poem combines existing completed poems and photos that match them. In this way, the method of creating poetry using photographs was not applied to poetry creation lectures as it is, but the method of teaching poetry creation with aesthetic photographs based on implications was studied.

한국어

본고는 시와 사진의 영향과 수용에 대한 상호텍스트성을 살피고, 사진 을 활용한 시창작 교육 방법에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시와 사진에 대한 이해를 미학적 속성이 있는 이미지와 상상력으로 연결하여 설명해보았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로 세상을 향해 하고 싶은 이야기가 무엇인지 들여 다보면서 시와 사진의 몇 가지 특징적인 친연성을 제시했다. 첫 번째로 순간의 발견과 현실의 기록으로 사람과 사물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발견 되게 되었고, 두 번째로 제목과 이미지의 구현으로 함축성과 버림의 미학 이 보였다. 시와 사진이 공감하는 것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관점에서 해석되었다. 이러한 점을 살피며 사진을 활용하여 시를 창작하 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시와 사진의 하이브리드 영역에서는 디카시와 포 토포엠을 살폈는데 디카시는 시인이 시적 형상을 포착해서 사진과 시를 멀티언어로 보여주고, 포토포엠은 기존의 완성된 시와 그것에 어울리는 사진을 결합한 형식이다. 이와 같이 기존에 사진을 활용해서 시를 창작하 는 방식을 그대로 시창작 강의에 적용하지 않고 함축성에 바탕을 둔 미학 적 사진으로 시창작 교육 방법을 연구하였다.

목차

1. 서론
2. 시창작을 위한 시와 사진의 상호관련성
3. 시와 사진의 융합콘텐츠
4. 사진을 활용한 시창작 교육 사례
5. 결말
참고문헌
【초록】

저자정보

  • 성은주 Sung, Eun-joo. 한남대학교/ 강의전담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