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Narrative Analysis and Existence Patterns of Civilian Victims by Allies among Korean War Experiences in Daejeon Area
초록
영어
This paper classifies the Korean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area into combat experiences and civilian war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subject of experience, and civilians’ war experiences are also classified into ‘victimize stories by the enemy’ and ‘victimize stories by friendly forces’. In the middle, this is a thesis that analyzes 'victimize stories by allies’ among them. ‘victimize stories caused by friendly forces’ are broadly classified into ‘victimize stories caused by air raids’ by planes and ‘stories of massacres of civilians’. The Daejeon area was heavily damaged by airplane bombing centering on Daejeon Station during the Korean War on June 25th. During the period of occupation by the People’s Army, the main concentration of airplane bombing was not only targeting the People’s Army, but also a lot of accidental bombing accidents, resulting in great civilian damage. This paper introduces and analyzes a series of episodes and types of discourse containing trauma that are remembered as civilians experience the bombing. This also helped the residents of Daejeon to form a formula for recognizing war: ‘war = plane bombing’. On the other hand, after the restoration of the Daejeon area, the execution of those who cooperated with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was the main focus of the narrative, and the ‘civilian massacre story’, which contains a large-scale massacre of Daejeon Prison inmates in Golryungol in the mountain, was written by the local people of Daejeon. The types that were memorized and narrated were analyzed. The hostility towards the ‘local commies’ who informed Mingun and caused their neighbors to die was also a motive for active storytelling, while not a few narratives that were unfairly accused of being local commies and were humiliated were handed down. The massacre of prisoners at the Daejeon Prison is the most widely known event among the local residents of Daejeon, often referred to as “those who were taken away by trucks.” It seems that the scale of the massacre, that is, the number of people taken by trucks, was a big reason why the pity that the deaths were unfair was read more strongly than the justification that they died because they were Reds. Therefore, it can be found that the narrative of pity that many of them died because they were unjustly accused of being communists, or the erroneous narrative that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killed them coexist.
한국어
본고는 대전 지역의 6ㆍ25 한국 전쟁체험담을 경험 주체의 성격에 따라 전투체험담과 민간인 전쟁체험담으로 구분하고, 민간인 전쟁 체험담이 ‘적군에 의한 피해담’과 ‘아군에 의한 피해담’으로 구분되는 가운데, 이 중 ‘아군에 의한 피해담’을 분석한 논문이다. ‘아군에 의한 피해담’은 크 게 비행기 ‘공습 피해담’과 ‘민간인 학살담’으로 분류된다. 대전 지역은 6 ․ 25 한국 전쟁 중 대전역을 중심으로 한 비행기 폭격의 피해가 큰 곳이었다. 인민군 점령기 시절에 주로 집중된 비행기 폭격은 인민군을 겨냥한 폭격뿐만 아니라 오폭 사고도 많이 일어나서 이로 인한 민간인 피해가 매우 컸던 곳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폭격이 민간인들 에게 체험되면서 기억되는 일련의 에피소드와 트라우마가 담긴 담화 유 형을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이는 대전 지역민들에게 ‘전쟁=비행기 폭격’ 이라는 전쟁 인지 공식을 형성케 해주기도 했다. 한편, 대전 지역이 수복 후 인민군들에게 협조했던 사람들에 대한 처형 이 주된 담화의 골자를 이루는 서사 및 산내의 골령골에서 이루어진 대전 형무소 수감자들에 대한 대형 학살 사건을 담은 ‘민간인 학살담’이 대전 지역민들에게 기억되어 구연되는 유형을 분석하였다. 인민군에게 밀고 를 해 이웃을 죽게 한 ‘지역빨갱이’들에 대한 적개심도 활발한 구연 동기 가 되고 있는 한편, 억울하게 지역빨갱이로 몰려서 수모를 당한 서사들도 적지 않게 전승되고 있었다. 대전 형무소 수감자 학살 사건은 흔히 ‘트럭 에 실려간 사람들’로 대전 지역민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사건이다. 이 들이 빨갱이라서 죽었다는 당위성보다는 억울한 죽음이었다는 연민이 더욱 강하게 읽혔던 것은, 학살의 규모 즉, 트럭에 실려간 사람들의 수가 너무 많았다는 것이 큰 이유였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들 중 빨갱이 라는 누명을 쓰고 죽은 사람이 많았다는 연민의 서사, 혹은 인민군들이 죽였다는 와전된 서사가 함께 병존하고 있다.
목차
2. 대전 지역 6ㆍ25 전쟁체험담 중 아군에 의한 민간인 피해담의 자료 분석
3. 대전 지역 6ㆍ25 전쟁체험담 중 아군에 의한 민간인 피해담의 유형별 존재 양상과 의의
4. 결론
참고문헌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