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임파워링 리더십과 장인적 성취의 관계에서 직무 재구성(Job Crafting)의 매개효과와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empowering leadership as perceived by organizational members on masteristic achievement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meaningful work in this process.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Korean working adults aged 19 and older, from which responses were collected. A total of 1,796 responden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masteristic achieve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 empowering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d the job crafting of organizational members. Third, job crafting had a positive impact on masteristic achievement. Fourth, job craft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masteristic achievement. Fifth, the meaningful work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crafting. Sixth, in the process where empowering leadership leads to masteristic achievement through job crafting, the meaningful work had a positiv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se findings reveal that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organizational members can practice job crafting and supporting the recognition of the meaningful work.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mad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장인적 성취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무 재구성(job crafting)의 매개효과와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만 19세 이상 직 장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응답을 수집했으며 총 1,79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조직구 성원의 장인적 성취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직무 재구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무 재구성은 장인적 성취에 정(+)적 영향을 미쳤 다. 넷째, 직무 재구성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장인적 성취 간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다섯 째, 일의 의미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 재구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여섯째, 임파워 링 리더십이 직무 재구성을 경유하여 장인적 성취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일의 의미는 정(+) 적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직구성원들이 직 무 재구성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과 일의 의미를 인식하도록 지원하는 것 이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를 증가시키고 일을 통한 다양한 성취를 고취할 수 있는 요소 임을 밝혀냈다. 이 같은 실증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 고 후속 연구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임파워링 리더십
2. 직무 재구성(job crafting)
3. 장인적 성취
4. 일의 의미
5. 변인 간 관계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구성
3. 측정 도구 검증
4. 분석 절차
Ⅳ. 연구 결과
1. 변수 간 상관관계 및 기술통계 분석 결과
2. 연구 문제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