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공폐경이 여성의 다빈도암 진단에 미치는 영향 : 갑상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Effect of Artificial Menopause on Diagnosis of Common Cancers in Women : Focusing on Thyroid Cancer, Breast Cancer, and Cervical Cancer

정현정, 박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artificial menopause on the diagnosis of thyroid cancer, breast cancer, and cervical canc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cancer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in women. Method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aw data from the 2011-202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ong the 79,262 people surveyed in the 2011-202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0,207 people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s, excluding men, those under 18 years old, those over 80 years old,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health survey, those with missing data, and those who were not in menopause. Among them, 248 people were diagnosed with thyroid cancer (2.7%), 225 people were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2.5%), and 143 people were diagnosed with cervical cancer (21.5%). Results: First,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between the thyroid cancer diagnosed group and the non-diagnosed group depending on educational level, childbirth experience, and menopause type. Second,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between the breast cancer diagnosis group and the non-diagnosis group depending on educational level, menopause age, pregnancy experience, childbirth experienc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menopause type. Third,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between the cervical cancer diagnosis group and the non-diagnosis group depending on menopause ag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menopause type. Fourth, compared to natural menopause, in the case of artificial menopause, the diagnosis probability of women increased by 2.010 times for thyroid cancer, 3.872 times for breast cancer, and 14.902 times for cervical cancer. Conclusion: For thyroid cancer, breast cancer, and cervical cancer, the probability of cancer diagnosis increases in the case of artificial menopause compared to natural menopause, so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avoid experiencing artificial menopause to prevent cancer.

한국어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폐경이 갑상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여성의 암 예방과 조기진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2011년-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11년-2020년 국민건강영양 조사 조사대상자 79,262명 중 남성, 18세 이하, 80세 이상, 건강설문 미참여자, 결측치, 폐경 상태가 아닌 자 를 제외하고 10,207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중 갑상선암 진단자 248명(2.7%), 유방암 진단자 225명(2.2%), 자궁경부암 진단자 143명(1.5%)으로 나타났다. 결과: 첫째, 갑상선암 진단군과 비진단군 간에 교육수준, 출산경험, 폐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방암 진단군과 비진단군 간에 교육수준, 폐경 연령, 임신경험, 출산경험, 주관적 건강상태, 폐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궁경부암 진단군과 비진단군 간에 폐경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폐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연폐경에 비해서 인공폐경의 경우 여성의 진단 확률은 갑상선암이 2.010배, 유방암이 3.872배, 자궁경부암이 14.90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갑상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모두에서 자연폐경에 비해서 인공폐경의 경우에 암 진단 확률이 증가 하므로 암의 예방을 위하여 인공폐경을 경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용어의 정의 및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특성
2.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갑상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진단의 차이
3. 인공폐경이 갑상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진단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정현정 Hyun-Jung Jun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보건의료정보학과 조교수
  • 박지경 Ji-Kyeong Park. 동의대학교 의료경영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