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인의 세대유형에 따른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원문정보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Households Type of the Elderly

최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nformation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households type of the elderly targeting 9,820 people aged 65 or older using data from the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Methods: This study used SPSS 27.0 to conduc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subjects' health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Single-person households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when they perceived written health literacy to be easy to understand, and multi-person households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when they perceived health information explained verbally by medical staff to be easy to understand. Conclusions: There is a need to develop customized education programs and elderly health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ouseholds type.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9,820명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SPSS 27.0을 이용하여 건강정보이해능력 및 일반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ㅇ르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노인 1인 가구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쉽다고 인식하는 경우, 노인 다인 가구는 의료진의 구두 건강 정보이해능력이 쉽다고 인식하는 경우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가구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정보이해능력 교육프로그램과 보 건의료정책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변수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1인 가구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
3. 다인 가구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
4. 세대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최령 Ryoung Choi. 동신대학교 보건행정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