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동학농민군의 대둔산 항쟁

원문정보

The Donghak Peasant Army’s Resistance at Daedunsan Mountain

신순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is about the Donghak Peasant Army’s resistance at Daedunsan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In early November 1894, the peasant army, defeated at the Battle of Ugeumchi in Gongju, experienced a series of fleeing and disbanding as they were chased by Joseon governmental forces and Japanese forces. However, some of the peasant army continued large scale resistances, and one of the forces that did so were the peasant forces that occupied a camp in Daedunsan Mountain. This force is presumed to be consisted of peasants from Yeonsan, Jinsan, and Gosan, and they continued their resistance for 70 days, from late November of 1894 to February 18th of the following year. Located between the borders of Chungcheong-do and Jeolla-do, Daedunsan is a very rugged mountain, with many rocky cliffs forming the natural formation. The peasant army formed their base atop Mireuk Rock, which was located to the southwest of the mountain and was over 150m high. Thirty to fifty men garrisoned the base and resisted governmental and Japanese forces. However, in February 1895, the base fell to a surprise attack from the governmental and Japanese forces, and around 20 men from the peasant army were killed. Through this essay, we were able to verify the precise location and approach of the peasant army, the location of the Joseon government forces and Japanese forces, and the path the governmental and Japanese forces took when they assaulted the base of the peasant army, using a map. In addition, the size of the burned peasant army’s camp, their numbers, and their firepower were able to be estimated by analyzing the remains (such as house sites or the traces left behind by old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s) and artifacts that were confirmed through the guns and ammunition the Japanese forces took as spoils, as well as through surface surveys.

한국어

이 논문은 1994년 동학농민혁명 과정에서 있었던 동학농민군의 대둔산 항쟁에 관한 글이다. 1894년 11월 초,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한 동학농민군은 관군과 일본군의 추격에 쫓기면서 도피와 해산의 과정을 겪었다. 그러나 일부 농민군은 대규모 항쟁을 이어가는데, 그 중 하나의 세력이 대둔산에 진지를 구축하고 있었던 농민군 세력이다. 이들은 연산, 진산, 고산 등지의 농민들로 추정되며 1894년 11월 하순부터 이듬해 2월 18일까지 약 70일간에 걸친 저항을 이어갔다. 충청도와 전라도의 경계에 있는 대둔산은 자연 지형이 바위로 된 절벽이 많은 매우 험한 산이다. 농민군은 이 산 서남쪽에 위치한 150m 이상 되는 높이의 미륵바위 위에 진지를 구축하고 30~50명이 머물면서 관군과 일본군에 대항하였다. 그러나 1895년 2월 관군과 일본군의 기급 공격으로 농민군의 진지는 함락되고 20여 명의 농민군이 희생되었다. 이 논문을 통해 대둔산 농민군 진지의 정확한 위치와 접근로, 관군과 일본군의 위치, 그리고 진지 함락 당시의 관군과 일본군의 공격로를 지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본군의 노획물인 총기와 탄약,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구(遺構)와 유물 을 통해 불태워진 농민군 진지의 규모와 수용인원과 농민군의 화력 등을 추정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머리말
Ⅰ. 대둔산 농민군 진지의 규모와 세력
Ⅱ. 대둔산 농민군의 전투와 함락
Ⅲ. 대둔산 농민군의 무기와 탄약
Ⅳ. 연산 및 진산 농민군의 재기 시도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순철 Shin Soon Chul. 원광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