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군산지역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특징 및 현황과 활동거점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Participant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Base of Revolutionary Activities around the Gunsan Region

김중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writing is the second research paper delving into the second phase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unsan, following the first paper titled “The Develop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Gunsan Region”. This research primarily revolves arou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participants and key operational bas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within the Gunsan region during the revoluti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conducted around the Gunsan region show noticeabl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mong participants. When it comes to their alignment with the southern and northern jeopju, the regions of Okgu and Impi are categorized as dominated by the northern jeopju, while Gunsan-jin shows any meaningful distinction between them. Furthermore, when considering social status based on the surnames of the participants, it appears that the dominant class is less represented in the Okgu and Impi regions compared with Gunsan-jin, in which a significant number of the middle class and above are detected, likely influenced by the presence of its commercial and naval infrastructure. It is presumed that the focal points of activity for the Donghak Revolutionary Army include Daeya-myeon and Jigyeong-ri areas in the case of Okgu, bordering Okgu and Impi, and ports and ferry terminals along the Geumgang River bordering Seocheon-gun and finally, the Gyeongpo-ri area in the case of Gunsan-jin. Rigorous research has confirmed that fifty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ary action in the Gunsan region. In terms of geography, these individuals were distributed as follows: five in the Okgu area, thirty in the Impi area, and fifteen in the Gunsanjion area. Particularly, a case study of Jwasu Moon Kyu-seon attracts attention. The reason is that he served as jwasu, which was the highest position in yuhangso, a civic autonomous organization in the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Moon’s involvement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underscores the diversity of social classes within the ranks of the participants of the revolution given the fact that he was executed by firing. Such instances of participation by members of the elite in the Donghak army were uncommon, except in the Namwon area where Donghak's influence was particularly strong. Additionally, reports from Seong Ha-yeong, the head officer of Seosan-gun, suggest that Gunsan-jin was one of the few areas where Donghak's influence persisted from June to November 1894.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growing recognition of the Gunsan region as a significant area for future research o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is writing also identifies seven different key bases of military action for the peasant army in the Gunsan region, distributed across different areas. Important locations include the former OKgu-hyun Regional Office site, where weapons were seized for the Backsan Uprising and the second key base was located in Daeya Jigyeong-ri and Cheongdogyo Okgu District Church, which accommodated numerous participants of the revolution. In the Impi area, three main bases are highlighted, including the Gongju Mountain area where Donghak soldiers were executed, The second location is the Seongdong Village in Seongsan-myoen, where Kim Mun-hwa, as jeopju, a director of a regional headquarter, participated. The third location was found in a mountain hut near the Cho clan where Donghak resurgence was envisioned. Two significant stronghold areas are identified in Gunsan-jin: the Gunsanjin Castle Site (Sudeok Park in the Inner Port), where suppressing forces led by Hong Gyeo-hun, a general responsible for supprerssing the revolution, landed in 1894, and the Middle East Gyeongpo area (Seorae Dangsan), believed to be a hub of Donghak military activities. This author hopes that given the fact that fifty participants and seven major activity locations are identified in this paper at the beginning of research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Gunsan region, continuous research supplementation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The writer also expects that mo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so that the record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progress in the Gunsan region (Table 1) will be filled with new research results. This writing aims for a method to console and rejuvenate the sincere aspirations of disenfranchised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with the singular goal of safeguarding their nation from collapse and resisting malevolent foreign forces. It suggests that the first step towards achieving this objective is to acknowledge their genuine devotion to their nation and its people, and to reinstate their dignity and sense of national pride. This paper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itiating this process through tangible actions,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documenting the identities of participants and commemorating the sites where they fervently voiced their aspirations.

한국어

이 논문은 연구자의 2019년 발표한 “군산지역 동학농민혁명 전개 과정과 특징”과 연계된 군산의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논문이다. 주요 내용은 동학농민혁명 기간 군산 지역에서 동학농민군으로 활동한 참여자의 성격 규명과 참여자 현황 및 그들이 활동 한 중요거점을 확인하고 있다. 연구결과 군산지역 참여자의 특징은 이들이 동학의 남,북접 측면에서는 옥구와 임피지역은 북접계열로 확인되며 군산진은 남북접 구분이 어렵다. 또한 참여자의 성씨로 본 신분계층 확인의 경우 옥구와 임피지역은 지배계층의 참여가 많아 보이지 않는다. 다만 군산진은 상업 및 수군기지라는 환경 때문인지 중인 이상 계층의 참여 가 많은 측면을 보였다. 동학농민혁명군의 주요 활동 거주지는 옥구의 경우 옥구와 임피의 경계지역인 대야면과 지경리 일대, 임피는 충청남도 서천군과 접하고 있는 금강변 포구와 나루터, 군산진은 경포리 지역이 주요 활동지역으로 추정된다. 군산지역에서 현재까지 확인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는 50명이다. 이들을 1894 년 행정구역에 따라 거주지역별로 구분해 보면 옥구지역은 5명, 임피지역이 30명, 군산진지역은 15명이다. 그런데 그중에서 군산진 좌수 문규선의 경우는 특별한 사례 이다. 그 이유는 좌수라는 직책이 조선시대 지방의 자치기구인 유향소의 가장 높은 지위이기 때문이다. 좌수는 그 지방의 권력자들인 양반 중에서 나이가 많고 덕망이 높은 사람을 유림들이 선출하였기에, 좌수 문규선이 동학에 오랫동안 물든 자라서 총살하였다는 내용은 동학 참여자들에 대한 신분계층의 다양성 측면에서 볼 때 놀라 운 내용이다. 이처럼 좌수가 동학군에 참여한 사례는 전북지역에서도 그 세력이 컸던 남원 지역에서나 가능한 일이었다. 또한 서산군수 성하영의 보고에 의하면 군산진은 1894년 6월부터 11월까지 동학군의 세력이 유지되는 몇 안되는 지역 중 한 곳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군산지역이 향후 동학농민혁명 연구에 있어 의미 있는 지역으로 주목받는 이유가 될 수 있다. 이글에서는 군산지역 농민군이 활동한 중요거점을 총 7개소로 특정하고 있다. 거점지역 7개소를 살펴보면 옥구지역은 2개소이다. 첫 장소는 “구 옥구현 관아터”이 다. 이곳은 허진이 이끄는 옥구동학농민군이 옥구현의 무기를 탈취하여 백산봉기에 참여한 장소로서의 의미가 있다. 두 번째 거점은 옥구지역 동학 참여자들이 많이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야 지경리와 천도교 옥구교구 교당”이다. 임피지역의 주요거점은 3개소이다. 첫 장소는 “나포면 원나포리 공주산 일대”이 다. 이곳은 이두황의 진압군에게 나포 동학군 14명이 포살 당한 곳이다. 두 번째 장소는 김문화 접주가 활약한 “성산면 성동마을 일대”이다. 세번째 장소는 김준홍접 주가 1900년 동학 재기를 꿈꾼 “오성산 동편 기슭 조씨제각 인근 산막”이다. 군산진 은 중요 거점지역이 2곳이다 첫 장소는 1894년 경군 초토사 홍계훈의 진압군이 상륙한 “군산진 성터 (내항 수덕공원)”이다. 그리고 다른 한 곳은 군산진에서 가장 활발하게 동학군의 활동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중동 경포천변 (서래당산)”이다. 이 논문은 도탄에 빠진 나라를 구하고, 간악한 외세를 물리치겠다는 일념으로 일어난 힘 없는 백성들의 진정 어린 마음을 위로하고 되살리는 방법은 그들의 백성과 국가를 향한 진정한 사랑을 인정해주고 명예와 자존심을 회복해 주는 일에서 부터 시작됨을 지적한다. 그리고 그러한 작업의 시작은 참여자의 이름을 기록하고, 그들이 자신들의 소망을 소리높여 외친 장소를 기억하는 일에서부터 임을 말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머리말
Ⅰ. 참여자 특징 및 현황
Ⅱ. 군산지역 동학농민혁명 중요 활동거점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중규 Joong Kyoo Kim. 군산근대역사박물관 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