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Japanese Perception of Gobu Peasant Uprising
초록
영어
As a previous history of the Donghak Peasant War, the meaning of the Gobu Peasant Uprising is not small. The small-scale peasant uprising that occurred in January 1894 in Gobu, Jeolla-do, of the Joseon Dynasty eventually turned into the Donghak Peasant War. The Gobu Peasant Uprising, the Donghak Peasant Army's first uprising, and the subsequent dispatch of the Qing army served as an opportunity to turn the tide in Japanese politics, so the government and the military were able to dissolve the parliament and provide an excuse for the dispatch of troops. This article examines the whole story of the Gobu Peasant Uprising, which was understood by the Japanese, including the government, the media, and individuals, focusing on data prepared during the same period, from the outbreak of the Gobu Peasant Uprising to the subsequent Japanese colonial era. First, the process and author of the "Jeollado Gobu Peasant Uprising Diary" written immediately after the Gobu Peasant Uprising in the spring of 1894 were presumed and the core contents were examined. Second, in the same year, the understanding and reality of the Gobu Peasant Uprising, which appeared in the records of the Japanese mission to Korea, the reports of correspondents of each media company in Joseon, and personal writings, were examined. Third, it introduced the contents of the Gobu Peasant Uprising, which was understood in books written from 1895 to Japanese colonial era.
한국어
동학농민전쟁의 전사(前史)로서 고부농민항쟁의 의미는 적지 않다. 1894년 1월 조선의 전라도 고부에서 일어난 그리 크지 않았던 농민봉기가 결국 동학농민전쟁으 로 비화하였다. 고부농민항쟁과 동학농민군의 제1차 봉기, 그로 인한 청군 출병은 일본 정국의 국면전환 계기로 작용하여 정부와 군부는 의회 해산과 출병의 구실을 마련할 수 있었다. 이 글은 고부농민항쟁 발생부터 이후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정부와 언론, 개인을 포함한 일본인이 이해하고 있던 고부농민항쟁의 전모를 같은 시기 작성된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내용은 첫째, 1894년 봄 고부농민항쟁 직후에 작성된 「전라도고부민요일기」의 작성 경위와 필자를 추정하고 그 핵심 내용 을 알아보았다. 둘째, 같은 해 주한 일본공사관 보고 기록과 조선 주재 각 언론사 특파원의 보고와 개인 저술 등에 나타난 고부농민항쟁의 이해와 실상을 살폈다. 셋째, 1895년 이후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기간 작성된 서적에서 이해하고 있는 고부항쟁의 내용을 소개하였다.
목차
머리말 : 일본군의 조선 출병 명분이 된 고부농민항쟁
Ⅰ. 「전라고부민요일기」 분석
Ⅱ. 외교당국과 토벌군 대대장의 기록
Ⅲ. 신문 및 개인 저술기록
Ⅳ. 1895년∼일제강점기의 이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