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19세기말 고부지역 수리시설 운영과 만석보 수세 징수

원문정보

A Study on the Operation of Water Facilities in the Gobu Area and the Collection of Manseokbo Water Tax in the Late 19th Century

왕현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examined how the collection of taxes at Jindap's dojo and the bonded tax issues at Manseokbo were identified as the primary concerns of wealth expropriation by the people of the Gobu region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Initially, we scrutinized the Uijeongbu report by Anhaeksa Lee Yong-tae on April 24, 1894, the April report from Jeolla Gamyeong, and Manseokbo's testimony regarding bondage raised during the trial of Jeon Bong-jun. Subsequently, we investigated the Gobu-gun region proposal and the situation regarding weir installations. In the Honam region, it was reported that “there are numerous water reservoirs in the land, and efforts are being made for irrigation.” In the Gobu region, there were a total of 23 proposals from the Jochon system to the Dapnae system until the 18th century, as highlighted in the 1852 and 1857 reports by the secret royal inspector of Jeolla Province. The palace and Naesusa were noted to have caused a commotion and privately collected bonded taxes, with the maximum number of maedurak reaching 1 du and never dropping below 8 seung at least. Following the opening of the port, tax issues in Gobu intensified due to the expansion of rice distribution and the increasing tendency to pay in large sums. Similar to the Janggye of Jeollaeosa Eo Yun-jung in 1878, numerous problems arose concerning the imposition of deposit taxes and wealth expropriation in the Gobu region. Through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Gobu-gun water tank plans of 1893 and 1894, it was confirmed that, in addition to taxes, various value-added taxes and bonded taxes were also imposed. To ascertain the true extent of the tax burden on the people of the Gobu region during that period,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ansion of poverty resulting from poor harvests and the dojo. Following a poor harvest in 1888, the Myeongnyegung burial ground was established in the Gobu Heungdeok area. Subsequently, in 1891, a large-scale land reclamation initiative known as ‘Gyunjeonsudo (均田收 賭)’ was undertaken in seven towns, including Jeonju and Gimje. Consequently, during the First Peasant War, the Donghak peasant army advocated for reforms such as the abolition of harsh feudal taxes, reduction of deposit burdens, abolition of Gyunjeon and Gyeonjeongwan, and addressing water tax issues for Manseokbo and Palwangbo. However, in September 1894, Kim Hak-jin, the Jeolla governor, failed to investigate and rectify the mixed position of the people's jeon regarding the blank tax collection of the Gyunjeon. Instead, he merely implemented temporary measures to mitigate the injustices of the sujo (收租). Furthermore, in the Gobu area, besides Gwangsanbo and Yongsanbo, which were installed along the existing Dongjin River waterway, Manseok Weir was separately installed downstream. According to agricultural statistics from 1909, the sale price of rice paddies and land yields in the Gobu area exceeded those in surrounding area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sparity in productivity due to the expansion of hydraulic facilities. As evidenced in the 1857 report, the issues of bonding and proposals escalated due to the destruction of dams and weirs in Jeonju, Gimje, Iksan, Mangyeong, Impi, and Okgu. This was attributed to the perception of it being a private imposition of bonded taxes by the royal family and influential families rather than public management of bonds and proposals.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the uprising of Gobu farmers resulted in the implementation of uniform capital and blank land taxes in seven counties, including Jeonju. Additionally, the reconstruction of Shinbo under Manseokbo imposed an excessive burden on all Gobu farmers. Subsequently, the Joseon government and local officials were unable to fundamentally resolve the issues of property tax and water management in the Gobu area of Jeolla-do. Therefore, even after 1894, Gobu farmers had no choice but to continue demanding reform and abolition of the government's policies.

한국어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고부지방 민들이 가장 크게 제기하였던 부세 수탈은 진답의 도조 징수와 만석보의 보세 문제가 어떻게 제기되는가를 살펴보았다. 우선 1894년 4월 24일 안핵사 이용태의 의정부 보고서, 전라감영의 4월 장계, 그리고 전봉준의 재판과정에서 제기된 만석보의 보세에 관한 증언 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고부군 지역 제언과 보의 설치상황을 살펴보았다. 호남지방에는 “땅에 수전이 많고 관개에 힘쓰고 있다”고 말할 정도로 고부 지역에는 18세기까지 조촌제 를 비롯하여 답내제까지 모두 23개 제언이 있었다. 1852년 보고서와 1857년 전라 우도 암행어사 보고서에도 지적되는 것처럼, 궁방과 내수사 등은 물의를 일으켜 보세를 사사로이 징수하면서 매두락 많으면 1두에 이르고 적어도 8승 아래로 내려가 지 않았다. 개항 이후 고부에서는 미곡유통의 확대와 대전납 경향의 증대로 인해서 조세 문제도 더욱 심화되었다. 1878년 전라어사 어윤중의 장계에서와 같이, 고부지 역의 전결세 부과와 부세 수탈 운영에 문제가 많았다. 1893년과 1894년 고부군 수조안의 비교 검토를 통해서도 조세 부과이외에 각종 부가세, 보세 등이 첨부되었 음을 확인하였다. 당시 고부지역 민의 부세 부담의 실태를 밝히기 위해서 흉년으로 인한 진전의 확대와 도조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1888년 흉년이후 고부 흥덕 일대의 명례궁 장토 가 설치되고, 이어 1891년 전주, 김제 등 7개읍에 대한 ‘균전수도(均田收賭)’라는 대규모 개간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1차 농민전쟁 시기에 동학 농민군들은 가혹한 봉건부세의 폐지, 전결부담의 경감, 균전과 균전관의 폐지, 만석보, 팔왕보의 수세 (水稅) 문제 등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그렇지만 1894년 9월 전라감사 김학진은 균전 의 백지징세에 대하여 민전 혼탈입지를 조사하여 시정하지 않고 단지 수조(收租)의 폐단을 개선하는 미봉책에 그쳤다. 또한 고부지역에는 기존 동진강의 물길 위에 설치되었던 광산보와 용산보 이외에 하류에 별도로 만석보가 설치되었다. 1909년 농업통계자료에 의하면, 고부 지역의 답 매매가나 토지 수확량이 주변지역보다 높았으나 수리시설의 확충에 따라 생산성 의 차이가 컸다. 1857년 보고서에 나타난 것처럼 전주, 김제, 익산, 만경, 임피, 옥구 등지에 둑과 보의 늑탈로 인하여 보세와 제언의 문제가 커졌다. 이는 보와 제언에 대한 공적 관리보다는 왕실과 세력가에 의한 사적 보세의 부과로 나타났기 때문이었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고부 농민들의 봉기는 전주 등 7개 군의 균전수도 와 백지징세에다가 만석보 아래 신보를 개축하여 전체 고부 농민의 과중한 부담으로 전가되었기 때문에 일어났다. 이후 조선정부와 지방관들이 전라도 고부 일대 부세와 균전수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했다. 따라서 1894년 이후에도 고부 농민 들은 폐정 개혁요구를 계속해서 제기할 수밖에 없었다.

목차

<국문초록>
머리말
Ⅰ. 고부 지역 만석보 보세 문제의 제기
Ⅱ. 조선후기 개항기 고부지역 제언 보의 설치와 운영 위기
Ⅲ. 19세기말 고부지역 부세·균전도세의 수탈과 만석보 문제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왕현종 Wang Hyeon Jong. 연세대 역사문화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