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맥스 L. 스택하우스(Max L. Stackhouse)의 공공신학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ax L. Stackhouse’s Public Theology

김승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nd critically reflect on Max L. Stackhouse's public theology. Stackhouse identifies four authorities (Scripture, tradition, reason, and experience) and four principles (creation, covenant, natural law, and ecclesiology) as the theological foundations of public theology, revealing the theological resources with which the church should approach the analysis of public issues. He also proposes vocation and stewardship as public practice, suggesting that Christ's threefold office of king, priest, and prophet calls Christians to stewardship in public life. Drawing on these theological positions, Stackhouse argues for the church's role in reshaping business ethics, renewing the public ethos of civil society, and stewardship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in contemporary capitalist society. Stackhouse suggests that Christianity can engage in God's creative purpose and redemptive work in globalised societies by reclaiming a sphere of value and meaning and reaffirming the elements of religion that can operate in each public sphere. However, Stackhouse's work has also been criticised for its pro-business, pro-capitalist stance rather than its critical voice on the economic poverty and disparities between rich and poor that capitalist realities impose. Most of the studies of Stackhouse in Korea have been comparative studies with other scholars, rather than in-depth explorations of Stackhouse's public theology, so it is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his public theolo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Stackhouse's public theology in general and then reflect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tackhouse's theology by reflecting on his attitudes towards business ethics, social ethics, and science and technology. In doing so, it aims to consider whether Christian resources can be used to analyse and engage with public issues while considering a practical methodology for public theology. Furthermore, it will propose how the church can develop a responsible response to the formation of social ethos, encouraging each Christian to handle public engagement with stewardship and vocation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reality. In doing so,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methodology for public theology in the Korean church.

한국어

본 연구는 맥스 L.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면서 비평적으로 성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스택하우스는 공공신학의 신학적 토대가 되는 네 가지 권위 (성경, 전통, 이성, 경험)와 원리(창조, 언약, 자연법, 교회학)를 각각 제시하면서 교회 가 공적 이슈를 분석할 때 어떤 신학적 자원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지 밝히고 있다. 또한 그리스도의 삼중직을 통해 그리스도인들이 공적 현실에서 왕, 제사장, 예언자적 삶으로서 청지기직을 담당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신학적 입장을 바탕으로 스 택하우스는 세계화된 자본주의 사회에서 교회는 기업 윤리의 교회적 성격을 성찰할 필요가 있으며, 시민사회의 윤리와 도덕을 회복하기 위해 공적 에토스(public ethos)를 새롭게 하고, 피조 세계의 돌봄을 위한 방법으로서 과학기술을 통한 청지기직의 역할 을 담당해야 한다.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은 기독교가 세계화 시대에서 가치와 의미 를 회복하고 각각의 공적 영역에서 작동할 수 있는 종교적 요소들을 재확인함으로써 하나님의 창조 목적과 구원의 사역에 동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자본주의 현실이 안고 있는 경제적 빈곤과 빈부의 차이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세계화 상황에서 친기업적인 혹은 친자본주의적인 입장을 보이 면서 자본주의의 낳는 비인간적 제도와 물신 숭배에 대관 인식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국내에 소개된 스택하우스의 연구는 상당수가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을 깊이 있게 살피기보다는 다른 학자들과 비교 연구를 진행한 것이 대부분 이기에, 그의 공공신학을 온전히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스택하우 스의 공공신학을 총체적으로 소개한 뒤, 그가 관심을 보였던 기업 윤리, 사회윤리, 과 학기술에 대한 태도들을 성찰하면서 스택하우스 신을 공공신학으로 재조명하는데 목 적이 있다. 이를 통해 공적인 이슈를 분석하고 참여하는데 현실적인 공공신학의 실천 방법론을 고민하면서 신학이 어떻게 기독교의 권위 있는 자원들을 활용하여 공적인 현실에 참여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교회가 사회적 에토스 형 성에 책임있는 응답을 어떻게 펼쳐갈 것인지를 제안하면서 각각의 그리스도인들이 정 치경제적 현실에서 청지기직과 소명을 가지고 공적 참여를 감당할 수 있도록 독려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교회의 공공신학 방법론 정립에 기여할 것을 기대해 본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Ⅱ. 맥스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
1. 공공신학의 네 가지 자원: 성경, 전통, 이성, 경험
2. 공공신학의 네 가지 원리: 창조, 언약, 자연법, 교회학
3. 그리스도의 삼중직 이해: 왕, 제사장, 예언자
Ⅲ. 스택하우스 공공신학의 실천적 관심
1. 자본주의 윤리와 기업 경영
2. 공적 에토스(public ethos) 형성
3. 과학기술과 청기지직
Ⅳ. 맥스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의 비판적 성찰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승환 Kim, Seung-Hwan. 장로회신학대학교 외래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와문화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