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기적 도시공동체 모델로서 공공신학 연구 – 성남 하모니포씨티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Public Theology as Building an Organic Urban Community, with the Case of the Harmony for City in Seongnam, South Korea

김상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t some point, ‘각자도생’(It’s every man for himself) has been used as a keyword symbolizing our society. The view of '각자도생' as a social phenomenon has a sense of the problem that our society is connected to infinite competition in the neoliberal system since after the 'IMF financial crisis'. The situation in the Korean church does not seem to be much different. There is a 'nominal community' bound by the name of a denomination or association, but in the first place, the function as a community that looks back on each other seems to have stopped working. In particular, the city is the base of life for modern people and the community itself. A community is a living organic space. An organic community means that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at they give and receive influences. If the city is an organic community, it is important to take care of each other. So is the church. Taking care of members living in the city, grouping individuals fragmented by capital into a community, and showing with the body that the value of living together is still valid will be the direction the Korean church in the era of individual self-sacrifice today. However, Korean churches are often criticized for being hostile to the secular society and for their own existence. They have a lot of worship and church meetings, and they spend a lot of time on church service. Or, even though social welfare services and social services are performed in various fields more than any religion/organization, the image of Christianity is stigmatized as negative, unreliable, and selfish. The crisis of publicity of Korean churches is not just a story of yesterday and today. This can be interpreted in two aspects. One means that the Korean church was not interested in public topics, and the other means that the church put the interests of the church ahead of the public purpose. It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but the Korean church generally agrees with the need for a sense of crisis and social responsibility for publicity. The reason we discuss the necessity of public theology is that it is important to overcome the indifference and selfishness between local churches and show the appearance of an alternative community different from the world, but it is also important to take it one step further and how the church can coexist and be harmonious with society. In this context, this paper considers a model for symbiosis in urban context. To this end, first, it diagnoses today's city situation as a loss of publicity and a society of ‘각자 도생’. And as a public theological response to it, it proposes an organic urban community. In this regard, it examines in detail from three perspectives: the dual citizenship of the Christians, the importance of a common language, and theology of space and place, drawing upon the arguments of Elaine Graham and Stephen Lowe. Finally, it proposes and analyzes the case of the Seongnam 'Hamonipo City' Foundation.

한국어

언제부터인가 ‘각자도생’은 우리 사회를 상징하는 키워드처럼 사용되고 있다. ‘각자 도생’을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보는 시선에는 우리 사회가 ‘IMF 외환위기’ 이후 신자 유주의 체제 속 무한경쟁주의와 연결된다는 문제의식이 자리한다. 한국교회의 처한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교단이나 연합체의 이름으로 묶인 ‘명목상의 공동 체’가 존재하지만 애초에 서로를 돌아보는 공동체로서의 기능은 작동을 멈춘 듯 보인 다. 특별히, 도시는 현대인이 살아가는 삶의 터전이고 공동체 그 자체이다. 공동체는 살아있는 유기적인 공간이다. 유기적 공동체란 서로가 연결되어 있다는 말이고 영향 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도시가 유기적 공동체라면 서로를 돌보는 것이 중요하다. 교회도 그러하다. 도시에 사는 구성원을 서로 돌보며 더불어 살아가고, 자본에 의해 파편화된 개인을 공동체로 묶으며, 함께 살아가는 가치가 여전히 유효함을 몸으로 보 여주는 것은 오늘날 각자도생 시대의 신학적 전망일 것이다. 하지만 한국교회는 교회 만 생각하고 세속 사회와 적대적이거나 각자 존재하는 모습이라는 비판을 받곤 한다. 많은 예배와 교회 모임을 가지며 많은 시간을 교회 봉사에 할애하기도 한다. 또는 여 러 분야에서 사회복지 사업과 사회봉사를 어떤 종교/단체보다 많이 하는데도 기독교 에 대한 이미지는 부정적이고, 신뢰할 만하지 못하며, 이기적이라는 오명을 받고 있 다. 한국교회의 공공성 위기는 어제오늘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이 말은 두 가지 측면 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나는 한국교회가 공적인 주제에 관심이 없었다는 의미이고, 다른 하나는 교회가 공공의 목적보다 교회의 이익을 더 우선했다는 의미이다. 일반화 하기는 어렵겠지만, 한국교회는 전반적으로 공공성에 대한 위기의식과 사회적 책임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다. 우리가 공공신학의 필요성을 논하는 이유는 개교회주의를 극복하고 세상과 다른 대안공동체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모습도 중요하지만, 한 걸 음 더 나아가 어떻게 하면 교회가 사회와 함께 공존/공생할 것인가 하는 까닭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공존을 넘어 공생의 모델로서 한국교회의 나아가야 할 방향 을 고민한다. 먼저 오늘 도시의 상황을 공공성 상실과 각자도생 사회로 진단한다. 그 에 대한 공공신학적 응답으로서 유기적 도시공동체를 제안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레 인 그레이엄과 스티븐 로우의 주장을 빌려 그리스도인의 이중시민권, 공통 언어의 중 요성, 공간과 장소의 신학 등 세 가지 관점에서 상세히 살핀다. 마지막으로, 이 논의 의 구체적인 사례로서 성남 ‘하모니포씨티’ 재단의 사역을 지역사회 중심, 열린 공간, 필요에 응답하는 사역, 리더십과 지속 가능성 등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제시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공공성 상실과 각자도생 사회
1. 상실의 시대: 교회는 무엇을 잃었는가
2. 각자도생 사회와 공동체의 상실
III. 도시를 위한 공공신학: 유기적 도시공동체 모델
1. 시민인가 제자인가
2. 공동의 언어가 필요하다
3. 공간과 장소의 신학
IV. 공생의 모델을 찾아서: 성남 하모니포씨티(Harmony for City) 사례
1. 교회 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2. 누구에게나 열린 공간
3. 도시의 필요에 응답하는 사역
4. 리더십과 지속가능성
V. 나가는 말: 유기적 도시공동체를 꿈꾸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상덕 Kim, Sang-Duck. 한신대학교 연구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윤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