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연구]

대학생 현장실습 통근시간이 전공-직무일치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및 경영자를 위한 제언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와 현장실습유형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Impact of Commuting Time of University Internship on Major-job Fit and Career Decision-making and Managerial Suggestions for Leaders :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University Internship

김민석, 김태형, 장은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urrently, a majority of domestic universities are operating internship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practical skills and improve employment rates. However, due to excessively long commuting times, individuals are unable to perform desired job roles at preferred companies. In response,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person-job fit, examines the impact of commuting time on the alignment between academic majors and job tasks, as well as career choices, within university internships.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types of internship program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participants in internship programs. Commuting time is anticipate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alignment between academic majors and job tasks. Additionally, if universities or companies enhance support through stipends,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the negative impact of commuting time on alignment is expected to decrease. Moreover, the alignment between academic majors and job tasks is expected to influence students’ career choices, particularly in long-term internships. Lastly,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with an expectation to aid in the formulation of policies that minimize internship commute time and strengthen organizational support.

한국어

현재 국내 다수의 대학들이 학생들의 실무능력 향상 및 취업률 제고를 위해 현장실습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긴 통근시간으로 인해 본인이 원하는 기업에서 원하는 직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직무 적합성 이론에 기반하여 대학생 현장실습에 있어 통근시간이 전공-직무일치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조직지원과 현장실습 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장실습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통근시간은 전공-직무일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 또는 기업에서 실습지원비, 교통지원비, 숙박지원비 등의 지원을 강화한다면, 통근시간이 전공-직무일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공-직무일치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장기현장실습 에서 더 강하게 나타남을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특히 본 연구가 현장실습 통근시간을 최소화하고 조직지 원을 강화하는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2.1 개인-직무 적합성 이론(person-job fit theory)
2.2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2 변수의 측정
3.3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4.1 측정도구의 검증
4.2 상관관계 분석
4.3 가설 검증
Ⅴ. 결론
5.1 이론적 시사점
5.2 실무적 시사점
5.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석 Minseok Kim.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석사과정
  • 김태형 Taehyung Kim.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조교수
  • 장은정 Eunjeong Jang. 인천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