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Applications

신민철, 강소산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applications and propose improvements for them. Three representative and influential application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across 91 items categorized into the area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pplication design, technology, and economic and ethical considerations. The common problems identifi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al applications are as follows: limited freedom in setting up the learning environment, inadequate feedback provided after evaluation, lack of opportunities for autonomous and additional learning, absence of explicit grammar instruction, excessive focus on rote memorization of expressions in vocabulary learning, predominance of mechanical learning methods without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inadequate activation of communities where various interactions surrounding the target language should occur, generally poor cultural learning experiences, limited availability of audiovisual materials, and insufficient provision of learning strategies and help resources. Although multiple languages were suppor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ent provided in each language, and there was a lack of meaningful interaction with characters or personalities, resulting in a less effective learning structure. Additionally, the expertise of the developers could not be confirm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al applications are proposed: first, learners should be able to freely configure their learning environment; second, appropriate feedback should be provided after evaluation; third, explicit grammar instruction should be implemented; fourth, interaction with other learners should be actively encouraged; and fifth, a sufficient amount of diverse content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고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 케이션 중 대표적이고 영향력이 있는 애플리케이션 세 개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교수·학습, 자료,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기술, 경제·윤리의 영역으로 나누어 91개 항목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공통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애플리케이션 내 학습 환경 설정이 자유롭지 않았 고, 평가 이후에 피드백이 제대로 제공되지 않았다. 또한 자율적이고 추가적인 학습을 할 기회가 없었고, 문법에 대한 명시적인 학습이 없었다. 어휘 학습에서 상투 적인 표현 학습에 과하게 치중되어 있었고, 기계적 학습이 주를 이루어 학습자가 스스로 배운 내용을 활용할 기회가 충분히 주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목표 언어를 둘러싼 다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할 커뮤니티는 제대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고, 문화 학습이 대체로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시청각 자료가 제한적이었으며, 학습 전략과 도움말이 유의미한 수준까지 제공되지 않았다. 지원하는 언어는 여러 가지였지만 각 언어로 제공되는 콘텐츠에는 차이가 크게 있었으며, 인물 또는 캐 릭터와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없어 학습 효율이 떨어지는 구조였다. 또한 개발사의 전문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 케이션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자가 자유롭게 환경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평가 이후에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문법에 대한 명시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다른 학습자와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충분한 콘텐츠를 개발해서 제공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행 연구
III. 연구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 기준
IV.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분석 결과
1. 듀오링고 분석 결과
2. 에그번 분석 결과
3. 트이다 분석 결과
4.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비교 분석 결과
V.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문제점
2.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선 방안
VI.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민철 Shin, Min-Cheol. 창신대학교 한국어교육센터 강사
  • 강소산 Kang, So-San.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어교육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