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크라이나 전쟁, 고려인의 피난 경험에 나타난 네트워크 활용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Network Utilization in the War in Ukraine and the Experience of Refugees of the Koryoin

박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vacuation experiences of the Koryeoin from Ukraine and how social networks were formed and utilized in their evacuation process, and to present content for the Koryeoin from Ukraine through thi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9 Koryeoin from Ukraine who entered Korea to escape the war and analyzed their cases. As a result, first, the war caused economic, material, and psychological losses for the Koryeoin from Ukraine. Second, in the evacuation process,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ir daily lives due to the lack of residential facilities and clothing, food, and daily necessities. Third, the Koryeoin from Ukraine wanted Korea to be the destination of the evacuation process and wanted to live safely in Korea, where they have compatriots. Fourth, in the process of entering Korea, they were helped by forming a social network with Koryeoin organizations in Korea and the Korean Association. Fifth, they were using messengers such as Telegram and YouTube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of the refuge or to communicate with their families who could not escape. Based on these results, the development of content for the Koryeoin from Ukraine was propos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study of social integration of the Koryeoin from Ukrain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우크라이나 고려인들의 피난 경험과 피난 과정에서 사회적 네트워크를 어떻게 형성하고 활용하였는지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우크라이나 고 려인을 위한 콘텐츠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는 전쟁을 피해 한국으로 입국한 우크라이나에 거주했던 고려인 9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하고 이들의 사례를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크라이나 고려인들은 전쟁으로 인해 경제적, 물질적, 심리적 손실이 발생하였다. 둘째, 피난 과정에서 주거시설 및 의류, 식료품, 생필품 등의 부족은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우크라이나 고려인들은 피난 과정의 종착지가 한국이길 바라고 있었으며, 동포가 있는 한국에서 안전하게 살고 싶 어 했다. 넷째, 한국으로 입국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고려인 단체 및 한인협회와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도움을 받았다. 다섯째, 고려인들은 텔레그램이나 유 튜브 등 메신저를 활용하여 피난지의 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피난 떠나지 못한 가족들과도 소통하고 있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우크라이나 고려인의 특성을 반영한 콘텐츠 개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우크라이나 고려인들의 사회통합 연구의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우크라이나 전쟁과 고려인
2.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
3. 우크라이나 고려인 관련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수집 및 분석
IV. 연구결과
1. 전쟁으로 인한 고려인들의 피난 경험
2. 피난 과정에 형성된 사회적 네트워크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미숙 Park, Mi-Suk. 선문대학교 글로컬다문화교육센터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