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I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Latent Profile Analysis of Teaching Competencies of University Faculty Members

김미경, 신주연, 임소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competencies of faculty members at a university I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and explore potential group differences. This study utilized a teaching competency diagnostic tool conducted in 2023 at a university I to conduct latent profile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sulted in three profiles: high, medium, and low competence. Second, five sub-competencies (lesson design, lesson management, interaction, technology utilization, and reflection and improvement) were explored as predictors of profiles, and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utilization was low in all three groups. Third, we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profiles by gender, full-time status, affiliation, CTL awareness, work ethic, organizational commitment, collaboration, teaching evaluation score, and teaching performance score, and found that male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low competency group than females, and those who did not have CTL awarenes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low competency group.

한국어

본 연구는 I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집단별 특성이 무엇 인지 살펴보고, 잠재 집단별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I대학에서 2023년에 실시한 교수역량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도권 I대학 에 재직중인 전체 교원들을 대상으로 진단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179 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은 적은 수의 표본이 확보된 상황이라고 해 도 양호한 결과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5개(수업설계, 수업운영, 상호작용, 테크놀 로지 활용, 성찰과 개선)의 역량 수준을 토대로 집단의 수를 변화하면서 잠재프로파일 의 수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잠재 집단의 분류 수를 토대로 예측변수를 투입하여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최고역량, 중역량, 저역량으로 3개의 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둘째, 프로파일 예 측 요인으로 5개의 하위역량(수업설계, 수업운영, 상호작용, 테크놀로지 활용, 성찰과 개선)을 탐색한 결과 특히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이 3개의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낮게 나 타났다. 셋째, 프로파일별 차이를 보기 위해 성별, 전임여부, 소속계열, 교수학습센터 (CTL) 인지, 직업윤리, 조직헌신, 협업, 강의평가 점수, 교육업적점수의 차이를 탐색한 결과 남성, 직업윤리, 조직헌신, 교수학습센터를 인지하지 않을수록 저역량 집단에 속 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I대학의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된 결과이므 로 일반화하는 데 제한적일 수 있으며, 다양한 예측변인과 결과변인을 구성하여 다각 도로 분석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수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
2. 교수학습개발센터의 교수지원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도구 및 투입변수
3. 분석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1. 잠재프로파일 분류
2. 잠재프로파일 집단별 특성
3. 잠재프로파일 분류의 영향 요인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미경 Mikyoung Kim. 인하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연구교수
  • 신주연 Jooyeon Shin.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 임소정 Sojung Lim. 인하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