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세기 중·후반 팔레스타인 미술에서의 저항 기억과 풍경 구축 : 역사적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Resisting Memory and Construction of Landscape in Mid-to-Late 20th Century Palestinian Art : Focusing on Artists Working in Historic Palestinian Territories

이보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istant nature of Palestinian art after the 1948 Nakba and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through landscapes, and to concretize the political nature of Palestinian landscapes. Based on Relph’s concept of placeness and Mitchell’s landscape discussions, the connection and construction of place/landscape and identity are explored in depth, and representative works are analyzed. Israel denies Palestine through the erasure and concealment of the Nakba. The resistance of Palestinian art stems from the contemporaneity of the Nakba, mediating active memory that resists erasure. Relph defines place as the fundamental basis of human existence, composed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ctivities, and meanings. These elements are expressed in Palestinian landscape paintings after Occupation, connecting land and people, and past and present. Mitchell understands landscape as an image socially constructed by power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andscapes in identity formation. Landscapes function as tools of power, but their formation is where social and cultural hegemony operates, enabling anti-colonial hybrid landscapes, as seen in Palestinian paintings. In the mid-to-late 20th century, Palestinian landscapes shifted from national symbols to sensory experiences using local materials during the First Intifada. Through attachment to the land of Palestine, landscapes and their representations mediate active memories of resistance in the context of identity, presenting paths that connect with people's live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1948년 나크바 이후 팔레스타인 미술의 저항적 성격과 풍경을 통 한 정체성 구축을 분석하고, 팔레스타인 풍경이 지닌 정치성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 를 위해 렐프의 장소성 개념과 미첼의 풍경 논의를 기반으로 장소/풍경과 정체성의 연 결, 구축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대표적 작품들을 분석했다. 이스라엘은 나크바 삭제 와 은폐를 통해 팔레스타인을 총체적으로 부정한다. 팔레스타인 미술의 저항성은 나크 바의 현재성에 기인한다. 팔레스타인 미술은 삭제에 저항하는 능동적인 기억을 매개한 다. 렐프는 장소를 인간 실존의 근본적인 토대로 정의하며, 물리적 환경, 활동, 의미로 구성된다고 설명한다. 점령 이후 팔레스타인 회화에는 이러한 요소들이 표현되며, 땅 과 민족, 과거와 현재를 연결한다. 미첼은 풍경을 권력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축된 이미 지로 이해하며,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상호 작용하는 풍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풍경 은 권력의 수단으로 작동하지만, 풍경의 형성과정은 사회와 문화의 헤게모니가 작용하 는 장으로, 팔레스타인 회화에서 볼 수 있듯이 반식민적 하이브리드 풍경의 형성도 가 능하게 한다. 20세기 중·후반, 팔레스타인 풍경은 민족의 상징적 이미지 재현에서 1차 인티파다 기간 동안 지역 재료를 사용하는 물질을 통한 감각적 경험으로 전환되었다. 풍경과 그 표현은 팔레스타인 땅에 대한 애착을 통해 정체성의 맥락에서 능동적인 저 항 기억을 매개하며 민족의 삶과 연결되는 다양한 경로를 제시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나크바 이후의 팔레스타인: 역사적 개괄과 현재의 재난
1. ‘비시민’의 ‘임박한 재난’
2. 1948년 나크바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역사적 개괄
3. 나크바 삭제와 은폐
Ⅲ. 20세기 중·후반 팔레스타인 미술의 풍경과 정체성 표현 - 역사적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을 중심으로
1. 저항으로서의 기억을 매개하는 팔레스타인 미술
2. 민족과 땅의 상징적 이미지로 구축된 풍경과 정체성 표현
3. 물질의 감각적 경험으로 전환된 풍경과 정체성 표현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보람 Lee, Bo-ram. 용인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