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혼율의 상승과 비혼가정의 제도화

원문정보

The Rise of Non-Marriage Rate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ohabitation

김영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uth Korea is facing an unprecedented ultra-low birth rate crisis in human history. While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various countermeasures in areas such as education, housing, work-family balance, and childcare support, it has not established adequate policies to address the sharp decline in married families. In contrast, major OECD countries experiencing similar declines in marriage rates have seen a rapid increase in non-marital households, which have filled the gap left by the decrease in married families. Approximately 40% of births in the OECD are to unmarried parents, playing a crucial role in maintaining the OECD’s birth rate.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family values resulting from the increased economic participation of women and discusses the need for government efforts to promote alternative family formations based on these changes. By introducing the “Domestic Partnership Registration System”, the government can: 1) alleviate the childcare difficulties faced by parents in non-marital households, 2) recognize the role of family members as guardians in medical treatment, and 3) provide benefits in family welfare services and tax policies equivalent to those of married families. Most importantly, the introduction of such a system by the government is expected to alleviate the anxiety and concerns of the older generation regarding non-marital households (cohabitat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pread of non-marital families and enhancing social inclusion.

한국어

우리나라는 인류 역사상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초저출산 사태에 직면해 있다. 정부가 교육, 주거, 일·가정 양립, 양육비 지원 등 다방면에서 대응책을 고심하고 있으나 정작 혼인가정의 급격한 감소에 대해서는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동일한 혼인율 감소를 경험해 온 OECD 주요국에서는 비혼가정이 빠르게 확산하며 혼인 감소에 따른 가정의 공백을 메꾸어 왔다. 근래 OECD 내 출산의 약 40%가 비혼출산이며, 이는 OECD 출산율 유지에 있어 결정적 역할을 감당한다. 본고는 여성의 적극적인 경제활동 증가가 야기한 가족제도에 대한 가치관 변화를 점검하고, 이에 기반하여 대안적인 가정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 노력의 필요성을 논한다. 정부는 ‘(가칭) 동반가정 등록제’를 도입함으로써, 1) 비혼가정 부모의 자녀 양육상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2) 의료적 인 처치에 있어 가정 구성원에 대한 보호자 역할을 인정하며, 3) 가족복지서비스와 세제 등에 있어 혼인가정에 준하는 혜택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정부의 관련 제도 도입은 비혼가정 (동거)에 대한 기성세대의 불안과 우려를 완화함으로써 비혼가정의 확산 및 사회적 포용성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한글초록
Ⅰ. 서론
Ⅱ.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와 미혼율의 상승
Ⅲ. OECD의 비혼동거 및 비혼출산 평가
Ⅳ. 가족제도에 대한 가치관 변화
Ⅴ. 비혼가정 촉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철 Young-Chul Kim.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