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워드클라우드를 활용한 국내 무용교육프로그램 분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n Dance Education Programs Using WordCloud

조혜원, 김형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Korean dance education programs using word cloud text analysis, and to provide meaningful basic data related to dance education programs through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s for the data for this study, a total of 562 data that went through the refining process out of 604 data collected for Korean journals and thesis from the 1980s to 2023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word cloud visualization were conducted after key preprocessing processes such as morpheme analysis, noun collection, and terminology processing using Python. Significant key keywords in the research results were found in the first stage of 'student' and 'child', the second stage of 'society', 'infant', 'worker', 'old person', 'treatment', the third stage of 'multiculturalism', 'integration', the fifth stage of 'ballet', 'convergence', and 'online'.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by providing basic data related to dance education programs, and visualizes 44 years of dance education programs from 1980 to 2023.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is intended to provide meaningful basic data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programs.

한국어

본 연구는 워드클라우드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무용교육프로그램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시대별 특징의 차이 를 통해 무용교육프로그램 관련 의미 있는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1980년대부터 2023년까지 국 내학술지,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수집된 604개의 데이터 중 정제 과정을 거친 총 562개의 데이터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 다. 자료 분석은 파이썬(Python)을 사용하여 형태소 분석, 명사 수집, 불용어 처리 등 핵심적인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키 워드 빈도분석 및 워드클라우드 시각화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유의미한 핵심 키워드는 1기 ‘학생’과 ‘아동’, 2기 ‘사회’, ‘유아’, ‘직장인’, ‘노인’, 3기 ‘치료’, 4기 ‘다문화’, ‘통합’, 5기 ‘발레’, ‘융복합’, ‘온라인’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무용교육프로그램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무용교육 관련 학술적 발전에 이바지하고, 1980년부터 2023년까지 44년간 의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시각화시켰다는 것에 가치를 가진다. 연구 결과를 통해 무용교육프로그램의 미래 방향성을 탐색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분석대상
2. 분석방법
연구 결과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혜원 Jo, Hye-won. 세종대학교, 박사과정
  • 김형남 Kim, Hyoung-nam. 세종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